1450원대까지 밀려…계속된 원화 하락에 ‘외환 방파제’ 위태

서울 중구 하나은행 딜링룸 현황판에 코스피 종가, 원/달러 환율이 표시돼있다. [연합]


[헤럴드경제=홍태화 기자] 계엄·탄핵 정국 여파로 원/달러 환율의 심리적 마지노선이 1450원대까지 밀리면서 외환보유액 방어에 비상이 걸렸다. 한때 4600억달러였던 외환보유액이 3000억달러대까지 내려올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온다.

11일 서울 외환시장에서 전날 미국 달러화 대비 원화 환율의 주간 거래 종가는 전날보다 10.1원 내린 1426.9원을 기록했다. 원/달러 환율은 비상계엄 사태 이후 좀처럼 안정되지 못하고 있다. 특히 지난 3일 야간 거래에서 1442.0원까지 뛰면서 단기 저항선은 1450원선까지 높아졌다.

시장에서는 환율이 1450원을 넘어설 수 있다는 관측도 나오는데, 이는 지난 1997~1998년 외환위기, 2008~2009년 금융위기 외에는 겪어본 적 없는 수준이다.

현재는 외환위기 당시보다 100배 이상 많은 외환보유액에 대외순자산국으로 탄탄한 경제 기초체력을 갖추고 있다는 점에서 극단적 상황까진 이어지지 않을 수 있지만, 외환보유액 규모 자체는 줄어들 수 있다.

한은에 따르면 지난달 말 우리나라 외환보유액은 4153억9000만달러로 집계됐다. 외환보유액은 지난 2021년 10월 4692억1000만달러로 역대 최대를 기록하며 4700억달러대에 육박했다. 그러나 이후 강달러가 지속하면서 점차 줄었고, 이젠 4000억대 초반까지 밀렸다.

만약 원/달러 환율이 1450원을 돌파해 1500원을 넘나들 경우 당국이 더 적극적으로 외환보유고를 헐어 시장 개입에 나설 수 있다.

특히 한국은행은 국민연금과의 외환스와프 거래 등으로 ‘컨틴전시 플랜’(상황별 대응 계획)을 대응하겠단 입장이다. 외환스와프 거래도 결국 달러를 국민연금에게 주는 방식으로 이뤄지기 때문에 일시적이긴 하나 엄연한 외환보유액 감소 요인이다.

한국투자증권은 ‘비상계엄 이후 국내 금융시장 영향’ 보고서에서 “향후 정치 불확실성 확대 또는 북한 도발 등 한국 고유의 지정학적 불안이 확대될 때마다 원화의 민감도가 커질 가능성이 높다는 점에서 뚜렷한 디스카운트 요인으로 작용할 것”이라고 지적했다.

최진호 우리은행 이코노미스트는 “정국 불안정 이슈가 단발성이 아닐 수 있겠다는 인식이 확산되며 (투자) 심리가 많이 취약해진 것 같다”며 “대외적으로 트럼프 트레이드 이슈로 강달러 환경인데, 국내 수출과 경기도 안 좋은 상황이라 1450원선 터치 가능성도 있다”고 설명했다.

김정식 연세대 교수는 “2022년 당시보다 지금 상황이 더 좋지 않고, 이 상황에서 환율을 지키려고 하면 3000억달러대까지 외환보유액이 내려가게 된다”며 “지금은 우리나라 경제 펀더멘탈에서 문제가 생긴 여파로 1400원대가 ‘뉴노말(새 기준)’이라는 이야기가 나오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Print Friendl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