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동산 1년새 8개 늘어 30개로
대기업 부실징후기업도 9개사→11개사
서울의 한 아파트 공사현장 모습. [연합] |
[헤럴드경제=김은희 기자] 올해 부실징후기업이 총 230개로 집계됐다. 업종별로 부동산 분야에서 30개로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1년 전보다 8곳 늘어난 수치다. 최근 부동산 경기 악화와 프로젝트파이낸싱(PF) 부실 우려 등이 반영된 결과로 풀이된다.
금융감독원은 채권은행이 올해 정기 신용위험평가를 한 결과 230개사를 부실징후기업(C·D등급)으로 선정했다고 23일 밝혔다.
전체 부실징후 기업은 지난해 대비 1개사 줄었다. 다만 경영정상화 가능성이 작은 D등급이 전년 대비 17개사 많은 130곳으로 집계됐다.
금감원은 “경기 회복 지연으로 인한 업황 부진과 원가 상승, 고금리 장기화 등에 따라 일부 한계기업의 경영악화가 심화한 점이 원인”이라고 설명했다.
규모별로는 대기업(금융권 신용공여 500억원 이상)이 11개사, 중소기업(금융권 신용공여 500억원 미만)이 219개사로 대기업은 2개사 증가한 반면 중소기업은 3개사 감소했다.
업종별로 보면 부동산 경기 부진의 직격탄을 맞은 부동산업에 속한 기업이 30곳으로 가장 많았다. 이어 ▷자동차(21개) ▷기계·장비, 고무·플라스틱(각 18개) ▷도매·상품중개(14개) 등의 순이었다.
부실징후기업은 코로나19(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 기간 유동성 지원 조치 등으로 줄었다가 2022년부터 증가세로 전환돼 2023년 46개사 급증한 바 있다.
부실징후기업에 대한 은행권 신용공여 규모는 약 1조9000억원이다. 전체 신용공여의 0.07% 수준으로 은행 건전성에 미치는 영향은 크지 않은 것으로 추정됐다. 전 금융권 신용공여 규모는 3조8000억원 수준이다.
부실징후기업 선정에 따른 은행권 충당금 추가 적립 추정액은 약 2069억원이다. 이에 따른 국제결제은행(BIS) 비율 변화 폭은 0.02%포인트 하락으로 미미하다고 금감원은 분석했다.
금감원은 부실징후기업을 대상으로 신속한 워크아웃 및 부실 정리를 유도할 방침이다.
금감원 관계자는 “경영정상화 가능성이 높은 부실징후기업은 워크아웃, 회생 등 법적 구조조정 등을 통해 경영정상화를 지원하고 필요시 부실을 신속히 정리해 시장 불확실성을 해소할 것”이라고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