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문으로 확인 어려운 15명 DNA검사 진행중
![]() |
30일 전남 무안군 무안국제공항 활주로 인근의 방위각 시설(로컬라이저)이 전날 제주항공 여객기와의 충돌 여파로 파손돼 있다. 방위각 시설은 공항의 활주로 진입을 돕는 역할을 하는 일종의 안테나로, 흙으로 된 둔덕 상부에 있는 콘크리트 기초와 안테나가 서 있는 구조다. [연합] |
[헤럴드경제(무안)=서인주 기자]제주항공 추락사고 사흘째인 31일 시신 수습 및 확인 절차가 마무리된 일부 희생자의 장례 절차가 시작될 것으로 보인다. 당국의 사고 원인 규명을 위한 현장 조사도 집중적으로 이뤄질 예정이다.
사고 여객기에 타고 있던 승무원과 승객 181명 중 179명의 시신은 11시간여만에 모두 수습돼 공항 격납고에 마련된 임시 안치소에 안치돼 있는 상태다.
사고 충격과 폭발로 기체 잔해가 어지럽게 널려있는 데다 사고 지점 활주로도 움푹 패어 있는 등 손상이 커 수습에 난항을 겪었다.
수습된 사망자 가운데 164명은 신원이 확인됐고, 나머지 15명에 대한 신원 확인 절차가 진행 중이다.
지문으로 신원을 확인할 수 없는 시신의 경우 DNA 검사가 이뤄지고 있다.
당국은 전날 밤까지 DNA 분석을 통해 신원 확인을 모두 완료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했다.
분석 결과는 이날 오전 중 유족들에게 전해질 것으로 예상된다.
수습된 시신들은 임시 안치실에 설치한 대형 냉동고 11대에 분산돼 안치돼 있다.
냉동고는 최대 18구의 시신을 안치할 수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사망자 가운데 90명의 희생자는 필요한 절차를 모두 마치고 유족에게 인도돼 장례를 시작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이와 관련해 유족 대표단은 전날 “(당국에서) 90구의 신원(명단)을 저희에게 넘겨주기로 했다”며 “국토부와 제주항공 측에 재차 확인한 뒤 장례 절차에 들어갈 생각”이라고 말했다.
시신을 유족에게 인도하기 전 마지막 절차로 검시가 이뤄지는데 비교적 온전한 시신에 대해 검시 확인서(필증)가 발급될 것으로 예상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