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양한 AI 솔루션 제공할 수 있다는 장점 부각
연내 북미 출시 목표 ‘에스터’도 공개
![]() |
SK CES 부스 입구에 설치된 ‘혁신의 문(Innovation Gate)’ 앞에서 모델들이 포즈를 취하고 있다. [SK 제공] |
[헤럴드경제(라스베이거스)=한영대 기자] “반도체와 서비스, 에너지 등 1개 그룹이 모든 인공지능(AI) 역량을 갖고 있는 것은 드물다. 올해 SK 부스는 AI에 대한 자신감을 드러냈다.”(이종민 SK텔레콤 미래R&D랩장 부사장)
세계 최대 IT 전시회 CES 2025 개막을 하루 앞둔 6일(현지시간) 미국 라스베이거스 컨벤션센터(LVCC) 센트럴홀에 마련된 SK 부스. 600평 규모로 마련된 SK 부스는 입구부터 출구까지 모두 SK AI 신기술을 소개하는 것은 물론 AI 시대 주도권을 차지하겠다는 의지로 가득찼다.
SK 부스 입구에 설치된 ‘혁신의 문(Innovation Gate)’은 21개의 대형 디스플레이를 통해 방대한 데이터가 전송되는 흐름을 이미지로 표현했고, 부스 내부에 있는 6m 길이의 대형 LED는 SK의 AI 아이템을 소개했다. 출구에 마련된 또 다른 LED에는 혁신(Innovation) AI, 지속가능한 내일(Sustainable Tomorrow), 에너지 전환(Energy Transition) AI 시대 SK가 지향하는 메시지를 선보였다.
![]() |
SK CES 부스에 설치된 HBM3E 16단 샘플. 한영대 기자 |
부스 초입 AI 데이터센터 내부 모습을 형상화한 전시관에는 SK하이닉스의 HBM3E 16단 샘플을 전시했다. SK가 글로벌 시장 선두를 차지하고 있는 초고대역폭메모리(HBM)는 기존 메모리 반도체인 D램보다 데이터 처리 속도를 혁신적으로 끌어올린 제품이다. SK하이닉스가 개발 중인 HBM3E 16단은 세계 최고 용량인 48GB(기가바이트)를 구현한다.
박명수 SK하이닉스 US·EU 영업담당 부사장은 “SK하이닉스 HBM뿐만 아니라 D램 제품군도 AI 데이터센터에 적용될 수 있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최근 데이터센터 산업의 성장은 SK하이닉스는 물론 우리나라 메모리 반도체 산업의 기반이 될 것”이라고 자신했다.
![]() |
모델들이 SK CES 전시관 부스에 설치된 6m 길이의 대형 LED를 살펴보고 있다. [SK 제공] |
SK는 지난해까지만 하더라도 CES에서 친환경 경쟁력을 중점적으로 소개했다. 지난해 부스 콘셉트는 ‘SK 기술로 구현된 청정 테마파크’였다. AI 역량도 소개했지만 최근 주목받고 있는 데이터센터 등이 아닌 환경에 미치는 영향에 초점을 맞췄다.
올해 AI 기술을 강조한 이유는 글로벌 시장에서 AI의 중요성이 커지고 있기 때문이다. 최근 글로벌 기업들의 생존 여부는 AI 기술의 활용 여부에 따라 결정되고 있다. 이종민 부사장은 이날 기자간담회에서 “지금까지 AI 잠재성을 주목했다면, 올해부터는 AI 액션 즉 활용의 시대가 다가왔다”며 “AI의 효용성이 입증되지 않으면 시장에서 선택받지 못할 것”이라고 진단했다.
![]() |
모델들이 SK CES 부스에서 SK텔레콤이 개발 중인 글로벌 AI 에이전트 ‘에스터’를 소개하고 있다. [SK 제공] |
SK는 치열해진 경쟁 속에서 살아남기 위해 일찌감치 AI를 미래 먹거리로 삼았다. SK는 AI 반도체부터 열관리 기술까지 다양한 AI 솔루션을 제공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갖고 있다.
SK는 이런 장점을 글로벌 고객들에게 알리기 위해 CES 부스 곳곳에 AI 기술을 전진배치했다. AI 데이터센터에서 발생하는 열을 식혀주는 SK텔레콤·SK엔무브의 액체냉각 외에도 ▷메모리 반도체에 연산 기능이 통합된 SK하이닉스의 PIM ▷데이터센터 솔리드스테이트드라이브(SSD)에 최적화된 SK하이닉스의 eSSD ▷반도체 제조 공정 과정에서 전력 효율을 높일 수 있는 SKC의 유리기판 등 차별화된 AI 기술을 선보인다.
SK의 AI 역량을 관람객들이 직접 체험할 수 있는 공간도 마련했다. SK텔레콤이 연내 출시를 목표로 하고 있는 AI 에이전트 ‘에스터’가 대표적이다. 에스터는 단순한 질의응답을 넘어 사용자 요청에 따라 목표와 계획을 수립하는 서비스이다.
AI 생태계를 구축하고 있는 글로벌 파트너 업체(가우스랩스, 람다, 펭귄솔루션스)들의 역량도 소개했다. 가우스랩스는 반도체 제조 공정 진행 시 발생하는 데이터를 이용해 공정 결과값을 예측, 공정 효율성을 높이고 있다.
![]() |
이종민 SK텔레콤 미래R&D랩장 부사장이 6일(현지시간) 라스베이거스 모처에서 진행된 기자간담회에서 발표하고 있다. [SK텔레콤 제공]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