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부지침 강화에도 검수·제재 한계
생산과정 투명공개·제도강화 필요
시민이 서울 시내의 한 의류 판매점 앞을 걸어가고 있다. [연합] |
의류 가품·품질 논란이 확산하자 패션업계가 품질 관리를 위해 내부 지침을 강화하고 있다. 하지만 현실적으로 눈속임을 하는 업체를 제재하는 데는 한계가 있다는 지적이다. 업계가 생산 과정을 투명하게 공개하도록 제도를 개선해야 한다는 제언도 나온다.
10일 패션업계에 따르면 패딩 충전재 혼용률 허위 기재 논란 이후 주요 패션플랫폼과 의류업체들은 입점 패션사 관리를 강화하며 대책 마련에 나섰다. 각 업체는 전수조사부터 인증서 확인, 보상 시스템 마련 등 내부 지침을 강화하고 있다. 소비자 신뢰가 구매와 직결되는 만큼 상황을 예의주시하는 분위기다.
W컨셉은 겨울 핵심 상품군은 시험성적서를 받은 상품에 대해서만 신상품 등록이 가능하도록 관리 중이다. 무작위로 검사를 진행하는 한편, 혼용률 표기 오류가 확인된 경우 반품·환불 처리를 하고 있다.
에이블리는 같은 문제가 지속해서 발생할 경우 페널티 누적에 따라 퇴점 조처를 할 수 있는 규정을 두고 있다. 카카오스타일의 지그재그도 품질 관련 고객 신고가 들어왔을 시 환불과 보상을 해주고 있다.
문제가 됐던 무신사는 겨울철 대표 의류 상품인 패딩과 코트류를 중심으로 소재 혼용률 광고의 진위를 상시 점검한다. 또 조사 대상 상품군의 상세 정보를 수시로 점검하고, 세 번 적발되면 퇴출하는 ‘삼진아웃’ 정책도 시행한다. 이랜드 후아유 역시 문제가 된 제품을 전량 폐기하고 품질 관리 시스템을 강화하겠다고 밝혔다.
품질뿐만 아니라 가품 논란도 진행형이다. 이마트 트레이더스에서 판매된 협력사 스투시 브랜드 제품이 가품으로 드러나면서, 상품 판매가 중단되고 현재 환불 절차가 이뤄지고 있다. 네이버 크림은 국내 공식 유통사(신세계인터내셔날)의 태그가 있는 상품만 정품으로 취급해 검수하겠다고 발표했다.
가품 논란에 맞서 일부 패션 플랫폼은 가품 문제 해결을 위해 부티크 직소싱 등을 앞세우며 불안감을 잠재우고 나섰다. 명품 플랫폼 젠테는 부티크와 직접 연계해 제품을 전량 소싱하고 있다. 병행수입 업자들이 입점하는 오픈마켓 형태의 플랫폼은 제품 공급 과정에서 가품 유입이 필연적인 상황이다.
재발을 완전히 막을 수 없다는 우려의 목소리도 나온다. 업계 한 관계자는 “의도적으로 혼용률 등을 속이는 업체를 전부 찾기는 쉽지 않다”며 “판매를 중단하더라도 다른 플랫폼에서 계속 판매를 이어갈 수 있어 소비자 피해가 이어질 수 있다”고 말했다.
갈수록 교묘해지는 수법도 문제다. 특허청에 따르면 2019~2023년 5년간 위조품 적발 건수는 756만점에 달한다. 의류가 67만점 이상으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했다. 디자인 모방과 위조 범죄도 꾸준하다. 완벽한 검수에도 어려움이 따를 수 있다.
소비자가 한국소비자원에 문제를 제기해도 업체에 행정 절차를 강제로 집행할 권한은 없다. 소비자원 관계자는 “현재 소재 혼용률 논란과 관련해 위법 제품 발견 시, 표시 기준을 마련한 주무 부처인 국가기술표준원에 위반 사항을 통보하는 방식으로 협업 중”이라고 설명했다.
전문가는 패션 플랫폼의 자체 관리를 강화하되, 생산 과정에 대한 정보를 투명하게 공개해야 한다고 조언한다. 일례로 EU(유럽연합)은 제품의 탄소 배출량, 내구성 등의 지속가능성 정보, 공급망 정보 등 제품수명주기 전반에 걸친 주요 데이터를 저장하고 공유하는 ‘DPP 제도’를 도입할 예정이다. DPP 제도는 2027년 2월 배터리부터 시작해 이후 섬유 등으로 확대된다. 전새날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