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환율·부양정책·캘린더 효과에 긍정 전망
인도 정부 집중 사업인 제약·바이오는 트럼프 수혜주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당선인(왼쪽부터), 시진핑 중국 국가 주석, 나렌드라 모디 인도 총리. [AP·로이터] |
[헤럴드경제=김민지 기자] 오는 20일 트럼프 2기 출범을 앞두고 미국의 ‘중국 견제’ 움직임에 각국이 촉각을 세우는 가운데, 정작 중국 당국은 만반의 준비가 된 모습이다.
앞서 트럼프 미국 대통령 당선인은 오랜 기간 중국 견제를 내세우며 높은 관세를 부여하겠다는 목소리를 내왔다. 이미 트럼프 1기 당시 무역전쟁을 겪어온 ‘중국’이다.
전문가들은 일제히 “트럼프 1기와는 다르다”며 달라진 중국 경제 상황과 각종 경기 부양책에 주목하고 있다.
도널드 트럼프(왼쪽) 미국 대통령과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AP] |
먼저 지탱해 주는 ‘환율’ 때문이다.
김경환 하나증권 연구원은 “무역전쟁 1기(2018년~2019년) 당시 중국의 금융 긴축 사이클 및 실질실효환율과 수출단가의 고평가 국면과는 완전히 반대인 현 상황에 주목해야”한다며 “상반기 내수와 환율의 적극적인 방어가 중화권 증시를 지지할 수 있다”고 분석했다. 실질실효환율은 한 나라의 화폐가 상대국 화폐보다 실질적으로 어느 정도의 구매력을 가졌는지를 나타내는 환율이다.
김 연구원은 “수출경쟁력을 보여주는 수출단가와 실질실효환율이 2018년 당시 대비 대폭 절하 및 하락했기 때문에 중국이 내수와 부양여력을 포기하고 인위적으로 평가절하해서 수출만 방어할 이유가 없다”고 봤다.
지난 14일 중국 인민은행은 위안화 환율을 합리적인 수준에서 안정시킬 방침을 표명하기도 했다. 이날 중국 인민은행 산하 외환교역(거래)센터는 위안화의 달러당 기준 환율을 전 거래일 대비 0.0007위안 내린 7.1878위안으로 고시했다. 이로써 위안화의 달러 대비 가치가 전 거래일 대비 0.01% 상승했다.
두 번째로 전문가들은 중국이 이미 트럼프 견제를 맛본바, 관련한 준비는 물론 내수 경제 발전을 위한 ‘적극적인 부양정책’이 트럼프 1기 때와의 차별점이라고 목소리를 냈다.
성연주 신영증권 연구원은 “트럼프 취임을 앞두고 각종 제재 이슈로 정보기술(IT)주 중심의 단기 변동성이 예상되나, 내수 부양 정책에 대한 기대감이 반영되면서 반등이 유효할 것”이라고 봤다. 그러면서 “트럼프 1기 때는 임기 중간에 중국에 대한 관세가 실시돼 중국이 준비 없이 직격타를 받아 관련한 여파가 컸지만, 현재는 이미 대비를 하고 있다는 점이 가장 큰 차별점”이라고 말했다.
중국은 지난 연말부터 각종 부양정책에 대한 의지를 보였다. 12월 경제공작회의에서 2025년 재정적자율 상향조정 및 내수 부양의지를 명확히 했으며 지난 1월 8일엔 ‘대규모 설비 갱신과 소비재 이구환신(以舊換新·낡은 제품을 새것으로 교체 지원) 정책 강도·범위 확대 통지’를 발표했다.
최진영 대신증권 연구원 또한 “향후 추진될 위 부양책들은 중국의 미분양 주택 비율(내수 경기)을 진정시켜 성장률의 함수인 위안화와 구리를 후행적으로 강화할 것”이라고 판단했다.
세 번째로, 중국 주식시장에서 1분기 주가 수익률이 높은 일명 ‘캘린더 효과’도 시장이 기대하는 바다. 박인금 NH투자증권 연구원은 “해당 시기에는 은행 간 시장 단기 금리가 낮아지며 기관들의 자금 집행과 상품 발행이 주로 이뤄지고, 춘절 계절성 때문에 1~2월 실물 지표는 3월에 일괄적으로 발표돼 3월 양회 전의 안정 기조 및 정책 기대감 등도 영향을 미친다”고 내다봤다.
김경환 하나증권 연구원도 “2025년 춘절 장세 전망을 고려할 때 1월과 3월의 주가 변동성은 중화권 대형지수와 1등주(중국 주도 산업) 매집 기회”라고 설명했다.
이어 대외경기가 많은 중국 특성상 미국 수출 의존도가 기존보다 낮아진 점, 미국의 대(對)중국 분위기가 조금씩 완화되고 있는 점 또한 긍정적인 전망으로 꼽힌다.
12일(현지시간) 홍콩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SCMP)는 “서울이 현재 리더십 위기를 계속 겪고 있는 상황에서 혼란의 예상치 못한 수혜자는 베이징이 될 수 있다”고 보도하기도 했다.
하지만 중국 증시의 단기 변동성은 피할 수 없다. 김경환 하나증권 연구원은 “올해 중국 연간 수출의 경우 기본 관세 시나리오(30%~40%)상 2024년 대비 둔화가 불가피하다”고 전망했다. 최진영 대신증권 연구원 역시 “장기적 관점에서 중국에 대한 비관적인 견해는 지금도 동일하다”며 “다만, 단기 사이클 측면에서 중국의 추가 부양을 비관적으로 바라볼 이유는 없다”고 덧붙였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당선인(오른쪽)과 나렌드라 모디 인도 총리. [AP] |
트럼프 2기 출범은 ‘기회의 땅’ 인도에게도 주목할 부분이다. 김근아 하나증권 연구원은 “인도는 ‘상저하고’ 흐름을 예상한다”고 전망했다. 그는 “상반기까지는 트럼프 취임 후 정책 불확실성 확대, 고환율, 미 국채금리 상승 등 대외 리스크들이 지속될 것으로 예상돼 외국인 투자자 복귀 지연에 따른 변동성 장세가 이어질 것”이라고 말했다.
하지만 “인도는 신흥시장국채지수 편입에 따른 글로벌 자금 대거 유입 등으로 인해 루피화 환율 안정 효과를 누릴 것이며 최근 인도 제조업과 민간소비 등의 지표들이 회복세를 나타내는 등 펀더멘털 개선이 점차 확인되고 있는 점은 긍정적 요인”이라고 봤다.
무엇보다 인도 정부가 집중적으로 지원하는 산업인 ‘제약·바이오’는 대표적인 트럼프 수혜주다. 김근아 하나증권 연구원은 “약값 인하 정책을 추진하는 트럼프 2기 행정부 하에 미국의 제네릭 의약품, 바이오 시밀러, 위탁개발생산(CDMO)에 대한 수요가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고 분석했다.
인도는 미국 제네릭 의약품 점유율 45% 이상으로 압도적인 1위를 차지하고 있다. 따라서 미국의 제네릭 의약품 수요가 증가할 시 최대 점유율을 차지하고 있는 인도가 직접적인 혜택을 받을 가능성이 크다.
인도는 CDMO 산업에서도 경쟁력을 강화하고 있다. 현지 대형 제약사들은 CDMO 확대를 위해 자회사를 설립하고 시설 확충을 가속화하는 추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