밭작물 주산지 재배면적 20%에 스마트농업 기술 적용
김정욱 농림축산식품부 농식품혁신정책관[연합] |
[헤럴드경제=배문숙 기자]정부가 오는 2029년까지 전국 온실 농장 35%를 정보통신기술(ICT)이 적용된 스마트팜으로 전환한다.
농림축산식품부는 ‘제1차 스마트농업 육성 기본계획’(2025∼2029)을 수립해 발표했다.
농식품부는 이번 스마트농업 육성 계획을 추진하면서 이상기후, 노동력 감소 등 농업 위기를 극복할 수 있는 스마트 농산업의 경쟁력을 강화하기로 방침을 정했다고 설명했다.
정책 목표는 오는 2029년까지 5년간 전국 온실 5만5000㏊의 35%를 스마트팜으로 전환하는 것으로 정했다. 현재 스마트 온실 비율은 16% 수준이다.
또 기계화가 진행 중인 주요 밭작물 주산지 재배면적의 20%에 스마트농업기술 한 개 이상을 적용하기로 했다.
이 밖에 스마트 농산업 선도기업을 오는 2029년까지 120곳 육성하고 스마트팜 수출을 같은 기간 9억달러(약 1조3000억원)로 늘리는 목표를 제시했다.
이를 위해 농식품부는 스마트 농업과 연관 산업이 집적화된 클러스터 조성에 나선다. 올해 전국 4개 시·군에 청년 장기 임대형 스마트팜과 연계한 스마트농업 육성지구를 만들 예정이다. 배추와 사과 등 노지 스마트농업 시범단지 시범지구를 교육·기술 실증 기능을 갖춘 거점단지로 전환하기 위한 계획을 마련한다.
이상기후에 대응해 밭농업 기계화를 추진 중인 8개 작물과 5대 과수 품목 주산지를 중심으로 스마트농업 기술을 보급하고 교육, 컨설팅 등을 지원하기로 했다.
스마트 농업인을 육성하기 위한 전문 교육기관을 올해 네 곳으로 두 곳 더 늘린다. 또 전문적인 교육과 컨설팅 능력을 갖춘 ‘스마트농업관리사 자격제도’를 도입한다.
농업인의 기술도입 장벽을 완화하기 위해 스마트팜 종합자금 지원품목과 규모를 확대하고 ICT시설·장비 지원품목에 과수작물과 수직농장을 추가한다.
정부는 K-스마트팜 표준모델 구축에 나선다. 스마트 온실과 수직농장 표준모델을 만들고 호환성과 수출 경쟁력을 강화한다. 에너지 효율성 개선과 온실가스 배출 감소를 위한 연구개발(R&D), 실증, 현장적용도 지원한다.
드론, 로봇 등 스마트농업 기술을 고도화하고 자율주행 농기계 보급에 필요한 검정기준과 융자 제도 등을 정비한다.
이 밖에 우수기업을 선정해 자금과 투자유치 등을 지원하고 우수 농업회사법인은 기자재·서비스 생산 등으로 사업 범위 확대를 허용하기로 했다. ICT 기자재·데이터 표준 적용을 촉진하고 스마트팜 수출 확대를 위해 각국 정부와 협력을 확대한다.
농식품부는 오는 22일 대전에서 정책설명회를 열어 시도 스마트농업 관계자와 유관기관 담당자를 대상으로 기본계획과 올해 사업을 설명한다.
김정욱 농식품부 농식품혁신정책관은 “첨단기술을 매개로 새로운 산업과 융합하고 범위를 확장하면 농업은 성장산업으로 도약할 수 있는 잠재력이 크다”라며 “정부는 스마트농업과 연관 산업이 동반 성장할 수 있도록 지원해 세계적 경쟁력을 갖춘 스마트 농산업을 실현하겠다”라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