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럼프 관세 강행, 미국민에도 부담…가구당 연 830달러 추가 세금부담 발생

1분기 물가상승률 0.7%p 상향 전망

“트럼프에도 리스크 안겨줄 수 있어”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지난달 31일(현지시간) 백악관에서 행정 명령에 서명하면서 연설하고 있다. [로이터]

[헤럴드경제=김은희 기자]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1일(현지시간) 캐나다, 멕시코, 중국을 상대로 관세 부과를 강행하겠다고 예고한 가운데 이번 관세 부과로 미국인의 가계 부담이 크게 늘어날 것이라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이날 미국 온라인 매체 악시오스는 비영리 싱크탱크 택스파운데이션을 인용해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 부과로 가구당 연평균 830달러(약 121만원)를 부담해야 하는 것으로 분석됐다고 보도했다.

택스파운데이션에 따르면 미국이 캐나다와 멕시코에 25%, 중국에 10%의 관세를 각각 부과할 경우 2025년부터 2034년까지 10년간 미국의 생산량이 0.4% 감소하고 세금은 1조2000억달러(약 1750조원) 증가한다. 이를 가구당 증세 부담으로 환산하면 연간 830달러가 된다.

택스파운데이션은 중국을 제외한 캐나다·멕시코에 대한 관세 부과만으로도 10년간 9580억달러(약 1397조원)의 세금 증가를 발생시키며 이는 가구당 670달러(약 97만원)에 해당한다고 설명했다.

이 기관은 트럼프 1기 행정부와 조 바이든 행정부에서 부과된 관세가 이미 미국 경제에 상당한 부담을 안겼다고 지적했다. 트럼프 1기 행정부에서 도입한 관세로 2018~2019년 800억달러(약 116조원)의 세금이 늘어나는 효과가 있었고 조 바이든 행정부에서도 이를 유지한 채 중국산 반도체 등에 180억달러(약 26조원)의 관세를 부과함에 따라 36억달러(약 5조원)의 세 부담이 늘었다는 설명이다.

글로벌 회계법인 EY의 그레고리 다코 수석 이코노미스트는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 부과로 인해 올해 1분기 물가 상승률이 0.7%포인트 상향될 것으로 예측했다.

그는 “수입 비용 상승으로 소비자 지출과 기업의 투자가 위축될 수 있다”며 “정부의 친기업 주장에도 무역 정책의 불확실성이 높아지며 금융시장의 변동성이 커지고 민간 부문이 압박받게 될 것”이라고 지적했다.

이와 관련해 AFP는 “미국의 최대 무역 상대국 세 곳에 대한 전면적인 관세 부과는 고물가에 대한 불만을 등에 업고 대선에서 승리한 트럼프 대통령에게 리스크를 안겨줄 수 있다”고 지적하기도 했다.

Print Friendl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