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델이 서울 등촌동 ‘홈플러스 메가 푸드 마켓 라이브’ 강서점에서 설날 선물세트를 소개하고 있다. [홈플러스 제공] |
[헤럴드경제=신현주 기자] 홈플러스가 지난해 12월 12일부터 이달 30일까지 설날 선물세트 판매 실적을 분석한 결과, 가성비 품목의 약진이 돋보였다고 밝혔다.
업계 최저가 수준으로 선보인 만감류·샤인머스캣 선물세트 매출 신장률은 배 선물세트 매출 신장률 대비 35%포인트 높았다. 환율 급등의 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해 국내산 만감류 선물세트를 늘리고, ‘제주 천혜향 세트’ 등을 2만원대에 선보인 것이 주효했다. ‘샤인머스캣망고 세트’도 기존 태국 골드망고를 페루산 애플망고로 대체해 4만원대로 구성했다.
수산 선물세트도 마찬가지다. 김 선물세트 매출이 기존 인기 품목인 굴비 선물세트 매출 신장률 대비 19%포인트 높았다. 김 선물세트 가격을 1만원 이하부터 책정한 결과였다. 축산 선물세트도 한우보다 ‘미국산 LA식 꽃갈비 냉동세트’ 등 수입육 매출 신장률이 22%포인트 더 올랐다.
장기간 보관할 수 있는 스팸이나 참치 등 통조림 선물세트 매출은 전년 동기 대비 11% 증가했다. 건강에 대한 관심이 늘면서 2만원대 ‘정관장 홍삼원’도 10만개 넘게 팔렸다.
주류 부문에서는 오래 두고 마실 수 있는 위스키 선물세트 매출이 두드러졌다. 잔 2개가 포함된 ‘조니워커 그린’ 등 가성비 제품군이 인기였다.
홈플러스는 특히 ‘2025 AI 물가안정 프로젝트’ 기반의 할인 행사에 설 특수가 몰렸다고 분석했다. 지난달 25일부터 30일까지 연휴 기간 영업일 기준 일평균 매출은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급증했다. 감귤과 돈육 매출은 각각 239%, 150% 이상 증가했다. 제수용 먹거리인 동그랑땡 268%, 두부 135%, 교자만두 매출도 108% 올랐다. 푸드코트 매출은 85% 늘었다.
홈플러스 관계자는 “높은 물가에 5만원대 가성비 선물세트를 찾는 경향이 짙어졌다”며 “통조림이나 주류보다 상대적으로 보관 기간이 짧은 신선식품 선물세트는 가격 경쟁력을 앞세워 좋은 실적을 냈다”고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