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촌진흥청은 옥수수잎 추출물이 구강 내 치주균 억제 및 치조골 형성 촉진 효과가 있다는 사실을 확인했다고 5일 밝혔다. 사진은 농진청이 동물 모델을 대상으로 치주질환 개선 효과를 평가한 모습 [농촌진흥청 제공] |
[헤럴드경제=김용훈 기자] 농촌진흥청은 옥수수잎 추출물이 구강 내 치주균 억제 및 치조골 형성 촉진 효과가 있다는 사실을 확인했다고 5일 밝혔다.
농진청 연구진이 옥수수잎 추출물을 세균에 처리한 결과, 치은(잇몸)염을 일으키는 ‘뮤탄스’는 해당 추출물에 처리하지 않은 대조구에 비해 성장이 150% 억제됐다.
또 다른 치은염 유발 세균인 ‘소브리너스’는 같은 대조구 대비 160%의 성장 억제 효과가 나타났다. 잇몸병 원인 세균인 ‘진지발라스’의 성장도 130%배 억제됐다.
염증 반응을 매개하거나 발전시키는 데 관여하는 염증성 물질인 ‘IL-6’와 ‘TNF-α’ 생성은 각각 9.6배, 6.0배 억제했다.
반면 콜라겐 형성과 치조골 형성 단백질 발현은 증가해 치주질환 개선 효과가 있음을 확인했다.
조골세포 분화는 대조구보다 10.5배 증가했다. 독성시험 결과, 처리 농도(25~200㎍/㎖)에서 세포독성은 없었다.
치주질환은 잇몸과 치아, 그 주위 뼈에 생기는 병이다. 주로 치은 부종, 출혈, 치은염에 의한 플라크 침착 등을 유발하고 치조골 파괴를 동반해 심하면 치아 상실의 원인이 되기도 한다.
연구진이 추출물을 분리·정제 후 구조를 확인한 결과, 옥수수잎 추출물 내 2차 대사산물 ‘파로빈 에이(A)’가 이 같은 효과를 끌어내는 것으로 나타났다. 농진청은 이 연구 결과를 특허출원했다.
또 농진청은 옥수수잎의 ‘파로빈 에이(A)’ 함량은 파종 후 97일에 최고에 달한다는 사실을 확인했다. 일반 옥수수 수확시기에 잎을 채취해도 문제가 없다는 뜻이다.
박진우 농진청 작물기초기반과 과장은 “최근 고령화로 인해 관심이 치료에서 예방 위주의 건강관리로 옮겨가고 있어, 치주질환을 개선할 수 있는 기능성 소재에 대한 요구도 증가하고 있다”며 “이번 연구 결과는 농산 부산물인 옥수수잎의 구강 건강 개선 기능성 원료 추진 및 향후 부산물 활용 새활용(업사이클링) 연구의 새로운 돌파구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