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6일 서울 종로구 정부서울청사 PC에 ‘딥시크’ 사이트가 차단된 화면. 정부 부처들이 6일 중국 인공지능(AI) 딥시크(Deepseek) 접속 차단에 대거 나섰다. 외교부, 국방부, 산업통상자원부가 전날 접속을 차단한 데 이어 통일부, 농림축산식품부, 보건복지부, 환경부 등이 이날 접속을 차단했거나 차단할 예정이다. <연합> |
[헤럴드경제=김빛나 기자] 개인정보 유출 논란으로 세계 각국이 제한에 나선 중국 인공지능(AI) 스타트업 딥시크가 처음으로 입장을 밝혔다. 딥시크는 “허위 정보와 위조 계정이 오해와 혼란을 일으키고 있다”고 주장했다.
7일 중국 매체 제일재경과 펑파이 등에 따르면 딥시크는 전날 저녁 위챗 계정에 ‘딥시크의 공식 정보 발표 및 서비스 채널에 대한 설명’이라는 제목의 성명을 공개했다.
딥시크는 성명에서 “최근 딥시크와 관련된 일부 위조 계정과 근거 없는 정보가 대중을 오도하고 혼란을 초래하고 있다”고 말했다.
딥시크는 “딥시크와 관련된 모든 정보는 공식 계정에 게시된 것을 기준으로 하며, 어떠한 비공식·개인 계정에 올라온 정보도 딥시크의 견해를 대표하지 않으니 주의 깊게 식별해 달라”고 강조했다.
이 회사는 “딥시크 AI모델 서비스를 받으려면 홈페이지 등 공식 채널을 통해 앱을 다운받아야 한다”며 “위챗의 공식 사용자 그룹 외에 딥시크 공식 그룹과 관련된 모든 요금 부과행위는 허위이니 재산 손실을 피하도록 신중하게 판별해 달라”고 덧붙였다.
딥시크는 위챗, 샤오훙수, 엑스(X·옛 트위터)에서만 공식 계정을 보유하고 있다고 밝혔다.
딥시크가 자사와 관련된 여러 소문을 부인하는 내용의 공식적인 입장을 내놓은 것은 이번이 처음이라고 중국 언론들은 전했다.
딥시크의 이같은 입장 표명은 세계 주요국들이 정보 유출 우려로 정부 기관을 중심으로 딥시크 접속을 제한하는 움직임 속에 나왔다.
우리나라 국방부·외교부·통일부·산업통상자원부·한국수력원자력 등 정부 부처와 기관들은 5일께부터 외부 접속이 가능한 컴퓨터에서 딥시크 접속을 제한한 상태다.
세계 각국 정부들도 딥시크 차단에 나섰다. 이탈리아는 전 세계 최초로 자국 내 딥시크 앱 다운로드를 차단하는 ‘딥시크 금지령’을 내렸다. 호주도 공공 부문 근로자를 대상으로 딥시크 사용을 금지했고, 대만은 정부 기관과 학교, 국영기업에 사용 금지를 내렸다.
영국, 독일, 프랑스 등 유럽 국가들은 아직 사용을 금지하진 않았으나 딥시크의 데이터 수집 방식에 대해 우려 표명한 상태다. 일본은 공식적으로 금지하지는 않았지만 하야시 요시마사 관방장관이 공무원들을 상대로 ‘딥시크 이용 자제’를 당부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