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지는 정보유출 공포…미국, 법으로 딥시크 사용 막는다

6일 미국 공화·민주 하원의원 공동 발의

2022년 ‘숏폼 플랫폼’ 틱톡 금지법과 유사

“딥시크, 로그인 정보 중국 이통사 유출” 파문

이탈리아 ‘전면 금지’…대만 등에서도 제한

 

0002425460_001_20250207113013912
개인정보 유출 논란 이슈로 전세계에서 사용을 제한하고 있는 중국 스타트업 ‘딥시크’ 생성 인공지능(AI) [로이터]

중국 스타트업 ‘딥시크’가 개발한 생성형 인공지능(AI) 개인정보 유출 우려가 커지자, 미국 의회가 딥시크 사용 제한을 위한 입법 칼날을 빼들었다. 그간 미 정부기관과 일부 민간기업이 딥시크를 차단하고 이용 자제를 권고한 것에서 한발 나아가 미 의회가 정부 기기의 사용 금지 법적 조치에 나선 것이다.

이는 딥시크가 사용자의 로그인 정보를 중국의 국영 이동통신사에 유출하고 있다는 조사가 공개되며 급물살을 탔다. 미국 외에도 전 세계 국가들이 안보상의 이유로 딥시크 사용을 제한하고 있어 관련 법안이 추가로 나올지 주목된다.

▶‘정부 소유기기 사용제한→전면 금지’ 틱톡 금지법과 유사=6일(현지시간) 월스트리트저널(WSJ) 등에 따르면, 미 공화당 소속 하원의원인 다린 라후드(일리노이)와 민주당 소속 조시 고테이머(뉴저지) 하원의원은 정부 소유 기기에서 딥시크 사용을 금지하는 ‘딥시크 금지법’을 발의했다.

법안이 통과될 경우 딥시크와 모회사 하이플라이어가 개발한 모든 앱을 정부 소유 기기에서 사용할 수 없게 된다. 공화당과 민주당 양당이 공동으로 추진하는 법안인 만큼 하원에서 통과될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전해졌다.

고테이머 의원은 “적(중국)이 우리 정부로부터 정보를 얻지 못하도록 막기 위해 즉각 취해야 할 조치라는 관점에서 생각할 필요가 없는 일”이라며 법안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라후드 의원도 “어떤 상황에서도 중국 공산당 회사가 정부 또는 개인의 민감한 데이터를 입수하는 것을 허용할 수 없다”라고 말했다.

미국 의회는 과거에도 중국 바이트댄스의 틱톡에 대해 정부 기기 사용 제한을 시작으로 전면 금지한 바 있다. 2022년 미국 하원은 정부 기기에서 개인정보 유출 논란에 휩싸인 틱톡을 사용하는 것을 금지하는 ‘틱톡 금지법’을 시작으로 지난해 4월 미국 내에서 틱톡을 아예 금지하는 법안을 만장일치로 통과시켰다.

당시 미국 의회는 틱톡 모기업인 중국 바이트댄스가 미국인 개인정보를 중국 정부에 넘기는 등 국가안보를 위협한다는 이유로 법안을 강행했다.

일부 의원은 중국의 AI를 전면 금지하는 법안을 제출하기도 했다. 조쉬 홀리 공화당 상원의원은 지난주 국가 안보상의 이유로 중국 AI 기술의 수입·수출을 전면 금지하는 법안을 발의하기도 했다.

▶“딥시크, 로그인 정보 중국 국영 이통사에 전송” 파문=미국 의회가 딥시크에 대해 발빠르게 움직이게 된 결정적인 계기는 전날 공개된 보안업체의 조사 결과 때문이다.

사이버 보안 전문업체 페루트 시큐리티는 딥시크가 출시한 인공지능 앱에 사용자 로그인 정보를 중국 이동통신사 ‘차이나모바일’에 보낼 수 있는 코드가 숨겨져 있다고 밝혔다. 차이나모바일은 개인정보 논란으로 미국에서 ‘국가안보를 위협하는 기업’으로 지정된 바 있다.

이반 차리니 페루트시큐리티 최고경영자(CEO)는 “AI 소프트웨어를 활용해 딥시크의 코드를 해독한 결과 사용자의 개인정보를 중국 국영 통신사로 전송하는 코드가 숨겨져 있다”며 “중국 정부의 통제 아래 있는 서버들과 중국 내 회사로의 직접적 연결이 보인다”고 주장했다. AP통신도 보안 회사 페루트도 페루트시큐리티와 같은 조사결과를 내놨고 전했다.

미 국토안보부 차관을 지낸 존 코언은 ABC 방송 인터뷰에서 “국가안보 당국자들은 언제나 중국기업들이 판매하는 기술제품에 중국 정부가 자료를 들여다볼 수 있는 백도어가 있다고 의심해 왔다”면서 “이번 사례에선 그런 백도어가 발견됐고 열렸으며 이는 우려스러운 일”이라고 말했다.

딥시크는 최근 추론 모델(R1)을 출시하면서 ‘가성비 AI’로 주목받았다. 애플 앱스토어의 157개 국가·지역에서 다운로드 1위를 차지하고, R1 모델이 출시 후 일주일 동안 하루 사용자 수가 2000만명을 돌파하는 등 ‘돌풍’을 일으켰다.

하지만 딥시크가 개인정보를 무분별하게 수집한다는 의혹이 제기되면서 접속을 제한하는 움직임도 빨라졌다. 딥시크의 개인정보보호 정책에 따르면 딥시크는 사용자의 채팅·검색 기록, 타자 패턴, IP 주소 등을 포함한 모든 종류의 사용자 데이터를 수집한다. 또한 딥시크 내 활동뿐만 아니라 웹상 모든 활동을 추적할 수 있어 개인정보 유출 논란이 커졌다.

지난 2일 미국 텍사스 주는 미국에서 가장 먼저 딥시크 사용을 금지했다. 공화당 소속인 그레그 애벗 텍사스 주지사는 주정부가 지급한 기기에서 딥시크를 비롯해 중국판 인스타그램 ‘샤오훙수(영문명 레드노트)’, 중국 바이트댄스의 틱톡과 유사한 ‘레몬8’ 등을 금지하는 명령을 내렸다. 항공우주국(NASA·나사)을 비롯해 재무부, 국방부, 해군도 딥시크 사용을 금지했다.

▶각국 차단 확산 속 딥시크 첫입장…“위조계정·허위정보 주의”=세계 각국 정부들도 딥시크 차단에 나섰다. 이탈리아는 전 세계 최초로 자국 내 딥시크 앱 다운로드를 차단하는 ‘딥시크 금지령’을 내렸다. 호주도 공공 부문 근로자를 대상으로 딥시크 사용을 금지했고, 대만은 정부 기관과 학교, 국영기업에 사용 금지를 내렸다.

영국, 독일, 프랑스 등 유럽 국가들은 아직 사용을 금지하진 않았으나 딥시크의 데이터 수집 방식에 대해 우려를 표명한 상태다. 일본은 공식적으로 금지하지는 않았지만 하야시 요시마사 관방장관이 공무원들을 상대로 ‘딥시크 이용 자제’를 당부했다.

한편 이날 개인정보 유출 논란을 의식한 듯 딥시크는처음으로 공식 입장을 내놨다. 중국 매체 제일재경과 펑파이 등에 따르면 딥시크는 전날 저녁 위챗 계정에 ‘딥시크의 공식 정보 발표 및 서비스 채널에 대한 설명’이라는 제목의 성명을 공개했다.

딥시크는 성명에서 “최근 딥시크와 관련된 일부 위조 계정과 근거 없는 정보가 대중을 오도하고 혼란을 초래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 “딥시크와 관련된 모든 정보는 공식 계정에 게시된 것을 기준으로 하며, 어떠한 비공식·개인 계정에 올라온 정보도 딥시크의 견해를 대표하지 않으니 주의 깊게 식별해 달라”고 강조했다. 김빛나 기자

Print Friendl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