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럼프 ‘마이웨이’에 美정부 인사·백악관 진화 진땀
![]() |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6일(현지시간) 워싱턴DC 미국 국회의사당에서 연설을 하고 있다. [EPA] |
[헤럴드경제=정목희 기자]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돌출적으로 발표한 이른바 가자지구 소유·재개발 구상을 놓고 폭탄 발언을 하자 미국 정부 참모진들이 진화를 하며 진땀을 빼고 있다.
트럼프 대통령의 발언에 대해 정부 인사들이 진화를 시도했으나 트럼프 대통령이 재차 가자 지구 소유에 대한 의지를 보인 가운데 미국 외교 사령탑인 국무부 장관이 또 수위 조절을 시도하면서다.
도미니카 공화국을 방문 중인 마코 루비오 국무부 장관은 6일(현지시간) 현지 기자회견에서 전쟁으로 파괴된 가자지구에 대해 “거주 가능한 곳이 아니다”라면서 “그와 같은 곳을 고치기 위해서 사람들은 임시로 다른 곳에서 살아야만 한다”라고 말했다고 AP통신 등이 보도했다.
루비오 장관의 이 발언은 이날 오전 트럼프 대통령이 소셜미디어(SNS)에 올린 입장과 상치되는 것이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 글에서 자신의 구상을 옹호하면서 “(이 계획이 실행됐다면) 팔레스타인 주민들은 역내 (다른) 지역의 훨씬 더 안전하고 아름다운 지역 사회에서 새롭고 근대적인 주택과 함께 이미 재정착했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 발언은 트럼프 대통령이 가자지구를 장악하고 소유해 재개발하겠다는 구상을 밝혔던 지난 4일 때의 언급한 내용과 같은 것이다.
그는 당시 “나는 그들이 돌아가길 원하지 않을 만한 것을 하길 희망한다”면서 ‘영구 이주’ 방안을 언급했다.
이를 두고 캐롤라인 레빗 백악관 대변인은 전날 브리핑에서 “대통령은 가자지구 재건 및 그곳에 있는 사람들의 임시 이주를 약속했다”고 했으나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다시 자신의 의도가 ‘영구 이주’임을 재확인한 것이다.
트럼프 대통령은 나아가 이날 “전쟁이 끝나면 미국이 이스라엘로부터 가자지구를 넘겨받을(hand over) 것”이라는 언급도 다시 했다.
이는 이스라엘이 사실상 가자 지구를 소유하고 있으며 이를 미국이 양도 받을 것이란 취지로 해석된다.
이 발언 역시 지난 4일 언급한 ‘장악(take over) 및 소유(own)’와 같은 맥락이다.
이에 대해 루비오 장관은 전날 “(가자 지구를) 재건하고 재건 책임을 맡겠다는 관대한 제안”이라고 두둔하면서 진화한 바 있다.
트럼프 대통령은 다만 공화당 내에서도 비판이 나오고 있는 가자지구의 미군 배치 가능성에 대해서는 발언을 번복했다. 그는 애초 미군 배치 가능성을 배제하지 않았으나 이날은 “미군이 배치되는 일은 없을 것”이라고 언급했다.
한편 루비오 장관은 이달 중순에 중동 지역을 순방할 예정이라고 인터넷 매체 악시오스가 소식통을 인용해 이날 보도했다.
중동의 아랍 국가들은 트럼프 대통령의 가자지구 구상 언급에 대해 강력히 비판·반발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