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럼프 관세 선포한 철강 8.8%↓
이달 1~10일 수출이 소폭 증가했지만 조업일수를 감안한 일평균 수출액은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반도체·자동차 등 주력 품목 수출 호조세에도 월간 수출이 지난달 감소세로 전환한 데 이어 이달에도 불안한 모습이다.
11일 관세청에 따르면 이달 1∼10일 수출액은 149억달러(통관 잠정치)로 작년 같은 기간보다 0.8%(1억2000만달러) 늘었다. 조업일수를 고려한 일평균 수출액은 21억3000만달러로 같은 기간 6.4% 감소했다.
지난달 월 수출액은 1년 전보다 10.3% 줄면서 16개월만에 마이너스로 전환됐다. 작년보다 일렀던 설 연휴로 인해 조업일수가 줄어든 점이 영향을 미쳤다.
이달 1~10일 수출을 품목별로 보면 반도체(1.8%), 승용차(27.1%), 선박(1474.8%), 무선통신기기(19.2%) 등에서 증가했다. 반도체 수출 증가폭이 한자릿수를 보인 것은 16개월만에 처음이다. 반도체 수출은 지난달까지 9개월 연속 100억달러 이상을 기록하며 2023년11월(12.9%)이후 줄곧 두자릿수 증가폭을 보여왔다. 이달 초순 반도체 수출 비중은 전체 수출의 19.0%로 0.2%포인트 상승했다.
반면 철강(-8.8%), 석유제품(-22.3%), 자동차 부품(-27.1%), 가전제품(-33.7%) 등 수출은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철강의 경우 트럼프 2기 미국 정부의 관세 전쟁의 핵심 품목으로 수출 감소세가 예상된다. 트럼프 대통령이 10일(현지시간) 모든 국가에서 미국으로 수입되는 철강 및 알루미늄에 25%의 관세를 부과키로 최종적으로 결정해 공식 발표했다. 쿼터제(할당)로 관세를 피해 온 한국의 경우도 트럼프 관세의 직접적인 타깃이 됐다.
국가별로는 중국(4.5%)·유럽연합(EU·11.7%)·베트남(20.7%) 등 증가했고 미국(-8.6%)·일본(-22.0%) 등 감소했다. 중국·미국·EU 등 상위 3국 수출 비중은 48.1%로 나타났다.
1∼10일 수입액은 171억달러로 작년 같은 기간보다 0.3%(5000만달러) 증가했다. 수입은 반도체(21.8%)·기계류(14.7%) 등에서 증가했고 원유(-19.2%)·가스(-13.7%) 등 감소했다.
미국(21.0%)·EU(10.5%)·일본(30.6%) 등으로부터 수입이 많이 늘었다. 중국(-15.0%)·사우디아라비아(-6.8%) 등은 감소했다. 수입액이 수출액을 웃돌면서 무역수지는 22억3000만달러 적자를 기록했다.
조익노 산업통상자원부 무역정책관은 “무역수지 적자는 월초에 수입이 집중돼 발생한 일시적인 현상”이라며 “2월 전체적으로는 반도체 호조세 등으로 수출 플러스와 흑자 전환이 기대된다”고 말했다. 배문숙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