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대 은행(KB국민·신한·하나·우리)이 보유한 최장 90일 연체의 잠재적 부실여신 규모가 7조원을 넘은 것으로 나타났다.
작년 한 해 동안 8000억원 넘게 급증했다. 경기 침체에 돈을 빌린 차주의 상환 능력이 저하되고 있다는 의미로 읽힌다.
11일 금융권에 따르면 4대 은행의 요주의 여신은 지난해 말 총 7조1115억원으로 집계됐다. 이는 2023년 말 6조9920억원보다 8230억원 증가한 수치다. 같은 기간 4대 은행의 전체 여신 중 요주의 여신이 차지하는 비율도 0.47%에서 0.49%로 0.02%포인트 늘었다.
잠재 부실을 의미하는 요주의 여신은 연체 기간이 1~90일인 채권으로 당장 부실채권(NPL)으로 잡히지는 않지만 언제든 부실화될 가능성이 큰 대출을 말한다.
은행별로 보면 하나은행의 요주의 여신이 2조4740억원으로 전년(2조460억원) 대비 4280억원(증가율도 20.9%) 늘었다. 같은 기간 신한은행이 1조3310억원에서 1조5070억원으로 13.2%, 우리은행이 1조4960억원에서 1조6890억원으로 13.0% 증가했다. 국민은행의 요주의 여신은 1조4190억원에서 1조4440억원으로 1.8% 늘었다.
4대 은행의 요주의 여신 증가액은 연체 기간이 3개월을 넘는 고정이하여신 증가액보다 컸다.
4대 은행의 고정이하여신은 지난해 말 총 3조9490억원으로 2023년 말(3조3860억원)보다 5630억원 늘었다. 전체 여신에서 차지하는 비율은 0.25%에서 0.27%로 올랐다.
은행별로는 ▷국민은행 1조1550억원에서 1조2950억원으로 11.3% ▷신한은행 7870억원에서 8620억원으로 9.5% ▷하나은행 8780억원에서 1조200억원으로 16.2% ▷우리은행 5660억원에서 7810억원으로 38.0% 각각 증가했다.
은행권 관계자는 “부실 채권뿐 아니라 잠재적으로 부실 가능성이 있는 채권까지 늘고 있다”며 “건전성 관리 차원에서 추이를 주시하고 있다”고 전했다. 김은희 기자
4대 은행 잠재부실 여신 7.1조
상환능력 저하 1년새 8230억 급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