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이오, 고수익 제품 판매 확대 및 라이신 시황 회복
![]() |
[CJ그룹 제공] |
[헤럴드경제=정석준 기자] CJ제일제당이 지난해 CJ대한통운을 제외한 매출 17조8710억원으로 전년 대비 0.1% 감소했다고 10일 공시했다.
지난해 CJ대한통운을 제외한 영업이익은 전년 동기 대비 26% 늘어난 1조323억원으로 집계됐다.
CJ대한통운을 포함한 연결기준 매출액은 29조3591억원, 영업이익은 1조5530억원이다. 각각 전년 동기 대비 1.2%, 20.2% 증가했다.
식품사업부문은 매출액 11조3530억원, 영업이익 6201억원이었다. 내수 소비 침체와 원가 부담을 겪고 있는 국내 식품사업 매출은 5조7716억원으로 1.8% 감소했지만, 햇반 등 주요 가공식품의 견조한 성장과 온라인 채널 매출 확대가 사업의 부진을 일부 상쇄했다. 이와 함께 ‘고메 소바바 치킨’, ‘통새우만두’에 이은 ‘통오징어만두’ 등 신제품이 국내 시장에서 성숙기에 접어들었다는 평가다.
해외 식품사업은 매출 5조5814억원을 기록하며 식품 매출 중 49.2% 비중을 차지했다. 전년 보다 3.6% 올라 역대 최고치를 기록했다. 북미, 유럽, 호주 등 주요 권역에서 성장을 이어갔고, 글로벌전략제품인 김치(+38%), 냉동밥(+22%), 만두(+18%)의 해외 매출이 크게 증가했다.
북미는 4조7138억원의 매출을 올렸다. 북미 시장 점유율 1위인 비비고 만두는 2위 브랜드와 3배 이상 차이 나는 선두를 유지했다. 유럽은 처음으로 연간 매출이 1000억원을 돌파했다. 프랑스, 스페인 등 신규 국가로의 진출을 가속화하는 한편, 유럽 대형 유통채널에서 판매 제품을 확대한 점이 주효했다. 호주에서는 울워스에 이어 콜스, IGA에 입점하는 성과를 이루며 현지 주요 유통업체 매장 수의 80%에서 비비고 제품을 판매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했다.
바이오사업부문은 매출 4조2095억원으로 전년보다 1.8% 올랐다. 영업이익은 3376억원으로 전년보다 34.3% 증가했다. 트립토판 등 고수익 제품의 판매 확대와 스페셜티 품목 매출 증가가 수익성 개선을 이끌었다. 특히, 알지닌, 발린, 이소류신, 히스티딘 등 고부가가치 품목인 스페셜티 제품의 매출 비중은 연간 기준 역대 최고 수준인 21%를 기록했다.
사료축산 독립법인 CJ Feed&Care는 2조3085억원의 매출과 747억원의 영업이익을 기록했다. 주요 사업국가인 인도네시아와 베트남의 축산 판가 상승 영향과 생산성 개선 등 제조원가 안정화 노력이 연간 영업이익 흑자 전환으로 이어졌다.
CJ제일제당은 향후 ‘소바바치킨’에 이어 ‘통새우만두’ 등 국내 ‘메가 히트 상품’의 해외 진출을 확대할 계획이다. 중장기적으로는 오는 2027년 가동을 목표로 하는 미국 중서부 사우스다코타 주 수폴스에 위치한 ‘북미 아시안 푸드 신공장’과 내년 가동을 목표로 하는 유럽의 헝가리 공장을 통해 ‘K-푸드 영토 확장’을 가속화한다는 방침이다. 바이오사업부문은 트립토판과 스페셜티 판매를 지속 확대한다. 특히, 수년간 중국 업체의 저가 공세에 떨어졌던 라이신 가격이 EU 반덤핑 관세 부과로 글로벌 시장에서 급반등하는 추세인 만큼 시황 변화에 빠르게 대응한다는 목표다.
한편, 유무형자산 평가에 따른 영업 외 손실이 발생하며 당기순이익이 35.3% 감소했다. (대한통운 포함 기준) 현금 유출은 없으나 보수적으로 회계처리를 한 결과다.
CJ제일제당 관계자는 “온리원 정신을 바탕으로 글로벌 사업 확장을 더욱 가속화하고, 미래 먹거리를 책임질 혁신성장 동력을 빠르게 확보할 것”이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