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임무중심형 글로벌TOP 전략연구단 확대, 출연연 평가체계 개편
![]() |
김영식 국가과학기술연구회(NST) 이사장이 기자간담회에서 중점 업무 추진 방안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NST 제공] |
[헤럴드경제=구본혁 기자] “과학기술 정부출연연구기관의 연구개발(R&D) 완결성을 높이기 위해 새로운 기술사업화 전략을 도입할 방침이다.”
김영식 국가과학기술연구회(NST) 이사장은 지난 11일 열린 기자간담회에서 인력과 재원을 집중시켜 출연연의 기술사업화를 적극 지원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이를 위해 ‘기술사업화추진단’을 신설하고 출연연 사업화공동추진 TF를 확대해 대형 기술이전 성과 창출과 딥테크 창업기반을 구축해 나갈 것이라고 강조했다.
김 이사장은 “보다 원활한 기술사업화를 위해 이전된 기술로 생산된 제품 매출에 따라 기술료를 받는 ‘마일스톤형 기술이전 지원사업’도 추진한다”면서 “연구비 지원과 사업화 컨설팅 제공 등으로 연구자와 기업이 상생할 수 있는 대형기술 이전 성사가 최종 목표”라고 설명했다.
이어 “출연연의 R&D 연구성과와 기술이 더 빠르게 성장할 수 있도록 시장논리를 적용할 필요가 있다”며 “시장의 요구를 사전에 파악해서 R&D를 시작한다면 가시적 성과를 낼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연구개발(R&D) 완결성을 추구하는 융합연구협력 강화에도 힘을 쏟는다. 이를 위해 임무중심형 글로벌 TOP 전략연구단에 올해 1250억원을 투입한다. 전략연구단은 5년간 연구과제를 수행하며 과제 중 국가전략형은 연 100억원 이상, 미래도전형은 연 50억원 내외를 지원받게 된다.
그는 “출연연은 국가임무중심형으로 가야만 하고 출연연에서 할 수 밖에 없는 시대적 소명이 있다”면서 “다만 전략기술 관련 대형 출연연에만 과제가 몰리는 현상을 막기위해 선정 유형을 다변화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출연연 연구성과에 직접적 영향을 미치는 평가체계에 대한 전면 개편도 추진한다.
![]() |
김영식 NST 이사장이 기자들의 질문에 답변하고 있다.[NST 제공] |
기존 출연연 평가는 기관운영평가(3년)와 연구사업평가(6년)로 이뤄져왔는데 지난해 출연연 공공기관 지정 해제 이후 정부는 2년 통합평가 추진방안을 내놨다. 하지만 일선 연구현장에서는 잦은 평가에 대한 부담과 성과창출에 몰입될 수 있다는 우려가 컸다.
김 이사장은 “출연연의 자율적 책임경영체계 실현을 위한 방향으로 평가체계 개편을 추진하고 있다”면서 “계획서와 보고서 작성을 최소화 하고 평가기간 단축, 연구실적 수집 자동화를 통해 행정부담을 최소화 시킬 것”이라고 밝혔다.
마지막으로 김 이사장은 “출연연이 자율성을 가지고 우수한 인재를 뽑고 국가기술 혁신을 주도해야 한다”는 소신을 밝히면서 “NST는 앞으로도 출연연의 경쟁력을 높이고 국가 조기 성장동력 확보에 주력해 나가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