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이창윤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제1차관이 19일 오전 서울 중구 달개비에서 열린 ‘제1차 기초연구 전략대화’ 에서 참석자들과 기념촬영 하고 있다. 박종훈(왼쪽부터) 숙명여자대학교 생명시스템학부 교수, 성맹제 중앙대학교 연구부총장, 윤지웅 과학기술정책연구원장, 유지범 성균관대학교 총장, 이창윤 제1차관, 허영우 경북대학교 총장, 이준호 서울대학교 기초과학연구소장, 이혁모 한국연구재단 기초연구본부장, 조광현 KAIST 연구처장.[과기정통부 제공] |
[헤럴드경제=구본혁 기자]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정부와 연구계 등이 참여해 기초연구 질적 고도화를 위한 비전과 전략을 함께 도출하는 ‘기초연구 전략대화’를 구성하고 제1차 회의를 개최했다고 19일 밝혔다.
정부의 기초연구예산 3조원 시대를 맞아 이제 양적 확대를 넘어 기초연구의 질적 고도화를 위해 기초연구의 비전을 정부와 연구계가 공유하는 한편, 현재의 기초연구 지원체계를 점검하고, 앞으로의 발전 방향을 모색해야 할 시점이다.
‘기초연구 전략대화’는 정부 정책을 심의의결하는 기존 정부 회의체와는 달리, 민과 관이 함께 머리를 맞대고 정부 정책을 제안하고 형성하는 실질적 논의의 장으로 운영된다.
이를 위해, 전략대화에는 정부와 연구관리 전문기관 및 기초연구와 기초연구 정책 수립 등에 다년간 참여해온 연구계 인사들이 참여하는 한편, 기초연구의 핵심 주체인 대학 행정의 최고위 인사들도 참여하여 대학의 연구 경쟁력 향상과 연구행정 선진화 방안 등도 심도있게 논의할 예정이다.
특히 그동안 정부 주도의 의제형성 방식을 탈피 민간 참여자들이 적극적으로 의제를 발굴하고, 논의 주제에 따라 관련 분야 전문가 등이 참여하는 유연한 형태로 운영하게 된다.
![]() |
이창윤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제1차관이 19일 오전 서울 중구 달개비에서 열린 ‘제1차 기초연구 전략대화’ 에서 참석자들과 대화를 나누고 있다.[과기정통부 제공] |
제1차 ‘기초연구 전략대화’에서는 기초연구 질적 고도화를 위해 정부와 연구계가 함께 공감할 수 있는 기초연구의 비전을 중점적으로 논의했다. 참석자들은 기초연구의 새로운 도약을 위해서는 오히려 ‘새로운 지식과 이론의 창출’이라는 기초연구 본연의 목적에 더욱 충실할 필요가 있다는 데 공감했다.
향후에는 기초연구 본연의 목적에 충실한 ▷기초연구 지원체계 정립 ▷대학의 연구경쟁력 향상 ▷책임있는 기초연구 ▷부처 및 산·학·연의 벽허물기 등을 중점적으로 논의하기로 했다.
이창윤 과기정통부 제1차관은 “기초연구 전략대화가 기초연구의 양적 확대를 넘어 질적 고도화를 위한 비전과 전략을 도출하는 데 그치지 않고, 정부와 민간이 함께 정책 의제를 발굴하고 형성하는 새로운 정책 형성 모델의 선도사례가 되기를 기대한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