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유상임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이 21일 오전 대전광역시 유성구 한국표준과학연구원에서 열린 ‘국가 핵심기술 확보를 위한 연구현장 간담회’ 에서 인사말을 하고 있다.[과기정통부 제공] |
[헤럴드경제=구본혁 기자] “국가전략기술인 양자과학기술의 지속적인 연구개발과 기술사업화를 통한 양자산업 생태계 확보가 무엇보다 중요하다.”(유상임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유상임(사진) 장관은 21일 한국표준과학연구원을 찾아 대표 연구시설을 둘러보고, ‘국가 핵심기술 확보를 위한 연구현장 간담회’를 개최했다.
이번 현장방문은 12대 국가전략기술 중 하나인 양자과학기술에 대한 국가적 핵심기술 확보를 위해 마련됐으며, 정부 출연연구기관인 표준연의 기관 추진방안과 발전방향 등을 논의했다
표준연은 양자과학기술의 근간이 되는 측정표준을 확립하고 관련 측정 기술을 선도해 온 국가측정표준 연구기관이다. 오는 2035년 대한민국의 글로벌 양자경제 중심국가 도약이라는 국가적 책무를 기반으로 양자과학기술 전반에 대한 전문 연구기관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현재 연구개발 중인 50큐비트급 초전도 양자컴퓨팅 시스템과 세계 최고 수준 정밀도를 갖춘 양자 중력 센서, 세계 최초 양자직접통신 구현 등 높은 수준의 R&D 역량을 보유하고 있으며, 양자과학기술 분야 국가 정책·전략 수립 및 국제협력 등을 주도하고 있다.
유상임 장관은 “올해 양자과학기술 프로젝트 플래그십 등 대규모 양자 연구개발 사업 착수가 예정되어 있고, 더불어 양자과학기술 및 양자산업 육성을 위한 범부처 민관 심의의결 기구인 양자전략위원회 출범이 예정되어 있다”면서 “표준연이 양자과학기술 허브 구축 등 산학연과 적극적인 소통을 통해 국내 양자과학기술 역량을 총결집하여 양자과학기술과 양자산업 발전을 선도해 나가길 당부드린다”고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