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김영철 인스타그램 캡처 |
[헤럴드경제=이원율 기자]개그맨 김영철이 자신을 향한 가짜뉴스에 대해 “저와는 아무 상관이 없다는 걸 말씀드린다”고 못박았다.
김영철은 8일 자신의 사회관계망서비스(SNS)에서 “저도 신경 안 쓰고 그냥 넘어가려고 하는데, 자꾸 여기저기서 ‘이게 뭐냐’고 저한테 톡을 보낸다”며 “관계가 전혀 없는 내용을 받는 것도 지치고, 저걸 보고 있음 신문사를 끼고 어떻게 저런 게 나올 수 있는지”라고 했다.
김영철이 함께 올린 사진에는 ‘곧 국적박탈 예정’, ‘몇 마디의 말이 김영철의 미래를 망쳤다’는 등의 문구가 있었다. 이는 언론사를 사칭해 조작된 게시물, 가짜뉴스였다.
김영철은 “제발 내려주시고, 믿지도 마시고, 저런거 제발 좀 올리지말라”며 “무슨 의도로 저런 걸 만드는지 모르겠다”고 했다.
또 “이런 영상, 글, 사진 여러분도 조심하라”며 “다시 한 번 저와는 아무 상관이 없다는 걸 말씀드린다”고 했다.
![]() |
신애라 인스타그램 캡처 |
최근에는 배우 신애라도 본인 이름을 도용·사칭한 광고와 루머 사레를 올리며 주의를 당부했다.
신애라는 SNS에서 “전혀 사실이 아닌 내용과 딥페이크까지, 원래 이런 것 무시하고 지나가는 편인데 피해를 보는 분이 생길 수도 있다고 해 올린다”고 했다.
신애라가 첨부한 사진에는 그의 이름을 도용·사칭한 사례가 “이건 아니죠”라는 문구와 함께 있었다.
신애라는 “저는 비도덕한 투자로 월수입을 내는 그 어떤 주식이나 코인 등을 하고 있지 않는다”며 “이런 말도 안 되는 수법에 여러분 속지 말라”고 강조했다.
또 “소속사에서 형사고소를 고려한다고 하니 불법 행위를 당장 그만두길 바란다”고 덧붙였다.
SNS의 역할과 영향력이 커지며 유명인의 계정을 사칭하거나 관련 가짜뉴스를 만드는 식으로 사기 행각을 벌이려는 행위가 이어지고 있다.
이에 지난해 3월에는 김미경 강사, 송은이, 황현희, 존리 등이 유명인 사칭 온라인 피싱 범죄 해결을 촉구하는 기자회견도 연 바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