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미 트럼프 행정부의 정부효율부(DOGE)의 수장인 일론 머스크 테슬라 최고경영자(CEO)가 11일(현지시간) 워싱턴 DC 백악관 집무실(오벌 오피스)에서 발언하고 있다. [로이터] |
[헤럴드경제=김빛나 기자] 미국 전기차업체 테슬라가 세계 최대 전기차 시장인 중국에서도 고전을 면치 못하고 있다.
블룸버그통신은 중국 승용차협회 자료를 인용, 테슬라 중국 공장의 출하량이 최근 5개월 연속 작년 동기 대비 줄었다고 10일 보도했다.
2월 출하량은 작년 같은 달보다 49% 급감한 3만688대로, 코로나19 팬데믹 시기인 2022년 7월(2만8천217대) 이후 가장 적었다.
상하이 외곽의 테슬라 공장이 일부 생산 라인을 개조했기 때문이기도 하지만 그 이전부터 테슬라 판매량은 감소 추세였다.
중국 자동차기술연구센터의 연말 자료에 따르면 중국 내 상위 12개 자동차 제조업체의 시장 점유율(전기차·하이브리드 및 기타 차량 포함)에서 테슬라의 점유율은 2.6%에 그친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BYD는 급성장하고 있다.
BYD는 2022년 3월 내연기관 자동차 생산을 완전히 중단했으며, 이후 시장 점유율은 15%를 향해 가고 있다.
올해 2월의 경우 작년 동기 대비 161% 증가한 31만8천대 이상의 전기차와 하이브리드 승용차를 판매했다. 해외 판매량도 6만7025대로 최고치를 경신했다.
테슬라 판매는 중국 이외 시장에서도 부진한 상황이다.
지난달 독일에서의 판매량은 전체 전기차 판매 급증에도 불구하고 76% 급감한 1429대에 그쳤다.
중국 시장에서의 판매 부진은 높은 가격과 신모델 부족이 원인으로 지목된다.
테슬라가 중국에서 생산하는 모델 Y와 모델 3은 가격을 소폭 인하했지만 평균 판매가가 약 3만3500달러로 여전히 높은 편이다.
이에 비해 올해 중국에서 가장 많이 팔린 BYD의 해치백 모델 쑹(宋) 플러스는 차량 사양에 따라 소비자 가격이 8~18% 인하됐으며 최고 2만1천달러에 팔린다.
BYD의 또 다른 인기 모델 시걸은 평균 9900달러로 훨씬 더 저렴해 올해 8만2435대를 팔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