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용산 대통령실 외관 모습[대통령실 홈페이지 갈무리] |
경호·허위사실엔 강력대응 방침
찬탄-반탄 양 측 주말에 또 勢대결
[헤럴드경제=서정은 기자] 윤석열 대통령의 탄핵심판이 다음주로 넘어가게 됐다. 헌법재판소의 장고가 길어지면서 찬탄-반찬 각 진영의 결집도도 최고조로 올라섰다. 대통령실과 여야는 각종 탄핵안의 연이은 기각이 윤 대통령의 탄핵심판에 영향을 줄지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대통령실은 “윤 대통령은 석방 이후 관저에서 헌재의 결정을 차분히 기다리고 있다”며 윤 대통령의 상황을 13일 전했다. 윤 대통령이 9일 삼청동 안가를 방문했다는 일각의 의혹을 반박하며 이같이 설명했다. 윤 대통령 측도 이번주에는 “말을 아껴야할 때”라며 낮은 자세를 강조해온 상태다.
다만 대통령실은 허위사실이나 보안 관련 사안에 대해서는 강력대응을 시사했다. 탄핵선고는 차분하게 기다리되 꼭 필요한 사안에 한해서는 ‘공세적 방어’가 불가피하다는 얘기다.
대통령실은 “당시 삼청동 지구병원에 간단한 건강검진을 받으러 간 것”이라며 “악의적인 허위 사실 유포 행위에 대해서는 강력하게 대응할 방침”이라고도 언급했다. 지난 11일에도 윤 대통령이 머무는 한남동 관저를 촬영한 언론사에 유감을 표명하고, 법적 조치를 취하겠다고 밝혔다.
대통령실 내에서는 “윤 대통령이 돌아오실 경우를 대비해 우리가 몸을 낮춰야한다”며 “대통령실이 부각돼 윤 대통령에 부담이 돼선 안된다”는 목소리가 나온다.
![]() |
14일 서울 종로구 헌법재판소 정문 인근에 경찰 차단벽이 설치돼 있다. <연합> |
다만, 민주당이 윤석열 정부 출범 후 통과시킨 탄핵안 13건 중 8건이 모두 기각되면서 국정 정상화에 대한 기대감은 지속적으로 표출하고 있다. 전일 헌재는 최재해 감사원장과 이창수 서울중앙지검장 등 검사 3명에 대한 탄핵소추를 전원일치로 기각했다.
윤 대통령이 12·3 비상계엄 선포의 여러 원인으로 야당의 부당한 ‘줄탄핵’을 언급한만큼 헌재의 결정이 비상계엄의 정당성을 뒷받침해준게 아니냐는 것이다. 다만 더불어민주당은 “헌법 내지 법률 위반 행위가 일정 수준 이상 소명됐다”며 ‘줄탄핵’ 비판에 반박하고 나섰다.
다음주 윤 대통령의 탄핵심판 선고가 열릴 가능성이 높아지면서 찬탄-반탄 측의 결집은 한층 강해지고 있다. 헌재를 향한 막바지 공세도 최고수위로 오를 전망이다.
국민의힘은 단체행동은 자제하는 대신 개별 의원들이 장외 집회에 나서고 있다. 야권은 윤 대통령의 구속 취소 이후 탄핵촉구 단식농성, 거리행진 등 ‘총동원’에 나선 모습이다. 양측 지지자들 모두 이번 주말에도 거리에서 집회를 통해 세력 대결을 펼칠 것으로 예상되면서 헌재 앞에도 전운이 감돌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