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당수 의대생 복귀…안심하고 돌아오라” 의대학장들 호소

서울 시내의 한 의과대학. [연합]


[헤럴드경제=나은정 기자] 의대생들의 복귀 데드라인이 코앞으로 다가온 가운데 전국 의과대학 학장들이 “(동결된) 2026학년도 의대 모집인원 3058명을 반드시 지켜내겠다”며 막판 호소에 나섰다.

전국 40개 의대가 소속된 한국의과대학·의학전문대학원협회(KAMC·의대협회)는 21일 ‘전국 의과대학 학생 여러분에게’라는 제목의 서신에서 이 같이 밝히며 “40개 대학은 학생들이 양질의 교육을 받을 수 있도록 준비하고 있다. 다만 이 모든 것은 여러분이 학교로 복귀할 때 이뤄진다”고 강조했다.

이는 정부의 ‘복귀 시 증원 없이 의대 모집인원 동결’ 약속을 불신하고 있는 일부 의대생들의 입장에 대한 답으로 풀이된다. 의대생들 사이에서는 복귀 후 정부가 의대 정원을 다시 늘리는 등 이들이 반대하는 의료 정책을 재추진할 것이라며 불신하는 분위기가 팽배한 것으로 알려졌다.

한편 각 의대 학장들은 서신에서 “의대생 내부에서 유통되는 확인되지 않은 정보와 오류가 있는 언론 기사를 바탕으로 잘못된 판단과 행동을 하지 말아 달라”고 학생들에게 요청했다.

일부에서 보도된 등록 연기 등은 전혀 사실이 아니며, 제적 후 타 학과 편입으로 의대를 구성하겠다는 등 의대생 내부에서 퍼진 소문이 잘못된 정보라는 것이다.

학장들은 “21일 (등록을) 마감하는 대학에서 등록과 복학에 유의미한 기류 변화가 있으며 상당수 학생이 복귀하고 있다”며 “복귀생은 철저히 보호할 것이니 안심해도 되며, 등록을 주저하는 학생은 더 이상 미루지 말기를 당부한다. 학업의 자리로 복귀하라”고 호소했다.

그러면서 “미등록 관련 규정이 대학마다 달라 학생들이 예상치 못한 피해를 입을 수 있으니 대학 당국에 반드시 확인해야 하며, 등록할 것을 강력하게 권고한다”고 말했다.

한편 고려대, 연세대, 경북대는 등 주요 의과대학은 21일을 등록 시한으로 잡았다. 건양대는 24일, 서울대·이화여대·부산대 27일, 경희대·인하대·전남대·조선대·충남대·강원대·가톨릭대 28일 순이다.

대부분 학교가 전체 학사일정의 4분의 1가량 되는 시점까지 복학신청이나 등록하지 않을 경우 유급·제적하도록 학칙으로 정하고 있어 복귀 시한까지 돌아오지 않는 학생에 대한 처분이 불가피할 전망이다.

Print Friendl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