직무복귀 韓 대행, 안보·통상 현안 산적

영남권 중심 산불 진화 업무에 총력
마은혁 헌법재판관 임명 여부 관심


한덕수 대통령 권한대행 국무총리가 24일 복귀 후 영남권을 중심으로 번지고 있는 산불 진화 업무에 총력을 다할 것으로 보인다. 대외적으로는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발 안보·통상 압박의 돌파구를 모색하는 데 힘을 쏟을 예정이다.

헌법재판소가 24일 오전 한덕수 총리에 대한 탄핵소추안을 기각한 후 한 권한대행은 삼청동 총리공관에서 헌재 선고를 지켜본 뒤 정부서울청사로 출근해 공식 복귀했다.

한 권한대행은 직무 복귀후 취재진들의 질문을 받는 대신 소감을 짧게 밝혔다. 이후 정부서울청사 중앙재난안전상황실 서울상황센터에서 울산·경북·경남 산불대응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룰 방문해 피해상황을 보고 받았다.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에 따르면 이날 오전 9시 현재 이번 산불로 인한 인명피해는 사망 4명에 중상 5명, 경상 4명으로 집계됐다.

한 대행은 이후 안보·치안 관련 긴급지시한후 그동안 대행 업무를 수행해왔던 최상목 기획재정부 부총리와 티타임을 갖고 자신의 직무 정지 기간 발생한 현안 관련 업무 보고를 받았다. 이후 대국민담화를 갖고 안정적인 국정업무를 수행하겠다고 밝혔다.

복귀와 동시에 한 대행은 통상·외교·안보 등 현안을 챙길 것으로 보인다.

특히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가 추진 중인 관세정책 대응이 시급하다. 초대 통상교섭본부장과 주미 대사를 지낸 ‘미국통’인 한 대행은 직무 정지 기간 미국의 관세 부과와 글로벌 무역전쟁 이슈에 관한 연구보고서 등을 탐독하는 등 미국의 통상 압력에 대처할 방안을 숙고한 것으로 알려졌다.

총리실에 따르면 한 권한대행은 조셉 윤 주한 미국대사대리와의 긴밀한 소통과 함께 트럼프 대통령과 직접 대화 방안을 검토할 것으로 알려진다.

이 외에도 의료개혁과 연금개혁, 외교 안보까지 현안이 쌓여 있다.여기에 더해 탄핵 기각 이후 여야 정치권의 갈등이 격화될 가능성도 제기된다. 무엇보다도 24일 국무회의에서 마은혁 헌법재판관 후보자 임명여부를 결정해야한다. 배문숙 기자

Print Friendl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