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난·외교·안보·통상에 중점 전망…마은혁 헌재재판관 임명 여부도 관심
![]() |
헌법재판소의 탄핵 기각으로 직무에 복귀한 한덕수 대통령 권한대행 국무총리가 24일 정부서울청사에서 산불 대응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 회의를 하고 있다. [연합] |
[헤럴드경제=배문숙 기자]한덕수 대통령 권한대행 국무총리가 24일 복귀 후 영남권을 중심으로 번지고 있는 산불 진화 업무에 총력을 다할 것으로 보인다. 대외적으로는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발 안보·통상 압박의 돌파구를 모색하는 데 힘을 쏟을 예정이다.
헌법재판소가 24일 오전 한덕수 총리에 대한 탄핵소추안을 기각한 후 한 권한대행은 삼청동 총리공관에서 헌재 선고를 지켜본 뒤 정부서울청사로 출근해 공식 복귀했다.
한 권한대행은 직무 복귀후 취재진들의 질문을 받는 대신 소감을 짧게 밝혔다. 이후 정부서울청사 중앙재난안전상황실 서울상황센터에서 울산·경북·경남 산불대응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룰 방문해 피해상황을 보고 받았다.
총리실 관계자는 “한 권한대행이 ‘현장 중심의 신속 대응’을 강조하며 산불 피해 상황을 집중 점검할 것”이라고 전했다.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에 따르면 이날 오전 9시 현재 이번 산불로 인한 인명피해는 사망 4명에 중상 5명, 경상 4명으로 집계됐다. 전날보다 경상자 수가 3명 늘었다. 사상자는 산불진화대원 9명, 주민 1명, 소방공무원 등 공무원 3명이다. 이번 산불로 산림 피해도 계속 늘어나 산청과 경북 의성, 울산 울주, 경남 김해, 충북 옥천 등 5개 산불 지역에서 산림 8천732.6㏊가 피해를 본 것으로 추정됐다.
한 대행은 이후 안보·치안 관련 긴급지시한후 그동안 대행 업무를 수행해왔던 최상목 기획재정부 부총리와 티타임을 갖고 자신의 직무 정지 기간 발생한 현안 관련 업무 보고를 받았다. 이후 대국민담화를 갖고 안정적인 국정업무를 수행하겠다고 밝혔다.
복귀와 동시에 한 대행은 통상·외교·안보 등 현안을 챙길 것으로 보인다.
특히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가 추진 중인 관세정책 대응이 시급하다. 초대 통상교섭본부장과 주미 대사를 지낸 ‘미국통’인 한 대행은 직무 정지 기간 미국의 관세 부과와 글로벌 무역전쟁 이슈에 관한 연구보고서 등을 탐독하는 등 미국의 통상 압력에 대처할 방안을 숙고한 것으로 알려졌다.
총리실에 따르면 한 권한대행은 조셉 윤 주한 미국대사대리와의 긴밀한 소통과 함께 트럼프 대통령과 직접 대화 방안을 검토할 것으로 알려진다.
이 외에도 의료개혁과 연금개혁, 외교 안보까지 현안이 쌓여 있다.여기에 더해 탄핵 기각 이후 여야 정치권의 갈등이 격화될 가능성도 제기된다. 무엇보다도 24일 국무회의에서 마은혁 헌법재판관 후보자 임명여부를 결정해야한다. 앞서 더불어민주당 등 야당은 지난해 12월 27일 한 대행의 헌법재판관 임명 거부 등 5가지 사유를 들어 한 대행을 탄핵 소추안을 가결했던 바 있다.
야당은 그동안 권한대행직을 수행한 최상목 부총리에 대해서도 마 후보자를 임명하지 않았다는 등의 이유로 지난 21일 탄핵소추안을 발의한 상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