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브로드밴드, PQC 전용회선 첫 수주…국내 양자암호통신 시대 본격 개막

한국전력기술 사업 수주…성공적 상용서비스 사례 확보
SKB, 양자암호기술 국책과제 5년 연속 1위


SK브로드밴드 구성원이 판교에 위치한 양자 테스트베드에서 PQC가 적용된 암호전송장비를 소개하고 있다. [SK브로드밴드 제공]


[헤럴드경제=박혜림 기자] 지난 2023년 양자내성암호(PQC) 전용회선 상용서비스를 출시한 SK브로드밴드가 처음으로 공기업에 이를 적용하며 국내 양자암호통신 시대의 본격적인 개막을 알렸다.

SK브로드밴드는 한국전력기술에 PQC 전용회선 구축을 완료했다고 26일 밝혔다.

양자암호통신 기술은 양자키분배(QKD)와 PQC로 구분된다. QKD는 양자 역학 특성을 이용해 송수신 양방향에서 암호키를 생성분배하는 하드웨어 기반 기술인 반면, PQC는 양자컴퓨터가 풀기 어려운 수학적 난제를 활용한 소프트웨어 방식으로 거리 제약 없이 제공할 수 있는 점이 특징이다.

SK브로드밴드는 “한국전력기술 전용회선 사업 수주에 PQC전용회선이 결정적 역할을 했다”며 “양자컴퓨터 개발이 가속화함에 따라 공공시장에서 양자암호통신 기술이 주목을 받기 시작했다”고 설명했다. 또 “금융, 의료, 국방 등 보안이 중요한 산업으로 양자암호통신 도입이 확대될 것”이라고 내다봤다.

SK브로드밴드에 따르면 PQC 전용회선은 미래 양자컴퓨터의 해킹 위협에 대비할 수 있는 수단이다. 이에 이번 PQC 전용회선 구축으로 한국전력기술은 본사와 현장 사무소 전체 구간을 오가는 중요 데이터를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게 됐다.

SK브로드밴드 구성원이 판교에 위치한 양자 테스트베드에서 PQC가 적용된 암호전송장비를 소개하고 있다. [SK브로드밴드 제공]


SK브로드밴드는 특히 국산 전송장비 업체 우리넷과 공동 개발해 적용한 PTN(패킷 전송 네트워크) 암호전송장비에 PQC 알고리즘을 적용해, 공공기관이 다루는 중요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보호하면서도 원활한 네트워크 성능을 보장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장시훈 SK브로드밴드 공공고객담당은 “이번 PQC 전용회선 구축은 국책과제 실증 사업을 넘어 실제 공기업에서 수요가 발생한 의미 있는 사례”라며 “앞으로 금융, 의료, 국방 등 다양한 산업으로 QKD와 PQC 도입이 확산될 수 있도록 기술과 상품 경쟁력을 지속 제고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SK브로드밴드는 SK텔레콤과 함께 한국지능정보사회진흥원(NIA)이 주관하는 양자암호기술 관련 국책 과제에 2020년부터 5년 연속 1위 사업자로 선정됐고 2022년 세계 최초로 총 800㎞에 달하는 국가융합망 백본망에 QKD를 적용하는 등 국내 양자암호통신 기술을 선도하고 있다.

Print Friendl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