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안덕근 산업통상자원부 장관(가운데)과 무토 요지 일본 경제산업상(왼쪽), 왕원타오 중국 상무부장이 30일 서울 중구 대한상공회의소에서 열린 제13차 한·일·중 경제통상장관회의에서 기념 촬영을 하고 있다. [연합] |
[헤럴드경제=배문숙 기자]한중일 3국 경제통상장관들이 6년 만에 한자리에 모여 3국 간 협력 필요성에 공감하고 경제·통상 협력을 확대해 나가자는 데 뜻을 모았다.
산업통상자원부는 안덕근 장관이 30일 서울 중구 대한상공회의소에서 무토 요지(武藤 容治) 일본 경제산업성 대신, 왕 원타오(王文) 중국 상무부 부장과 함께 제13차 한일중 경제통상장관회의를 개최했다고 밝혔다.
이날 회의는 지난해 5월 서울에서 열린 제9차 한일중 정상회의 후속조치를 논의하기 위한 것으로 2019년 12월 중국 베이징 이후 6년 만이다. 또 서울에서는 10년 만에 개최된 것이다.
이번 회의에서 3국 장관은 역내·글로벌 경제의 번영과 안정을 위한 3국 간 협력 필요성에 대한 공감대를 재확인하고, 경제·통상 분야의 협력을 지속적으로 확대키로 했디고 산업는 전했다. 또 글로벌 통상 의제와 산업·에너지 분야의 협력을 중심으로 심도있는 논의를 진행했다.
우선, 3국은 세계무역기구(WTO) 개혁, 역내포괄적경제동반자협정(RCEP) 신규 회원 가입 등 다자무역 체제 관련 이슈와 함께 포괄적이고 높은 수준의 한일중 자유무역협정(FTA) 추진을 위해 긴밀히 협력하기로 합의했다. 현재 동북아에서는 한중 간에만 FTA가 체결되어 있다. 3국은 그간 한중일 3자 FTA를 체결하는 방안을 논의해왔지만 각자 처한 여건에 차이가 커 그간 논의에 속도를 내지는 못했다.
또 제9회 하얼빈 동계 아시안게임(2월)의 성공적 개최를 축하하고, 2025 오사카·간사이 EXPO, 올헤 한국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내년 중국 APEC 등 3국에서 개최되는 국제 행사들의 성공을 위해 협력키로 했다.
또 예측가능한 비즈니스 환경 조성, 공급망 안정화, 수출통제 관련 소통 강화, 녹색·디지털 경제 달성을 위한 산업·에너지 협력 강화 등과 함께 오는 11월 대전서 열리는 제23회 환황해 경제기술교류회의 등 지역 간 협력 분야에서도 긴밀히 협조키로 했다.
미국 정부의 상호관세 발표 직전 열린 이번 회의는 보호무역주의 대두 속에서 3국 공동의 이익 기반인 자유무역 질서 촉진에 관한 3국 차원의 대응 방향을 모색하는 자리의 성격도 있던 것으로 평가된다.
3국은 각기 사정은 다르지만, 공통으로 미국의 주요 무역 적자국들로서 미국의 주요 관세 부과 대상이 될 것으로 거론되고 있다.
안 장관은 이 자리에서 “최근 글로벌 경제통상 환경이 급변하는 가운데 3국 경제통상장관이 만난 것은 세 나라뿐 아니라 국제사회에도 큰 의미”라며 “상호 존중과 신뢰를 바탕으로 3국 협력을 통해 안정적 글로벌 교역투자 환경을 조성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무토 대신도 “우리를 둘러싼 국제 환경은 날마다 변하고 있으며, 불안정성이 점점 커지고 있다”며 “이러한 상황일수록 WTO와 경제 연계 협정을 통한 규범 기반의 국제 경제 질서를 유지·강화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한중일 경제통상장관 회의를 계기로 별도의 양자 접촉도 연쇄적으로 열렸다. 29일에는 먼저 한중 상무장관 회의가 개최됐다. 안 장관과 왕 부장은 글로벌 통상 환경에 관한 의견을 교환하고 향후 양자·다자 차원에서 상호호혜적인 협력을 계속해 나가기로 했다.
이날 오전에는 중일 장관 회담이 열렸고, 오후에는 한일 장관 회담도 진행된다.
차기 회의는 제10차 한일중 정상회의와 연계, 3국이 합의하는 일정에 따라 차기 의장국인 일본에서 개최될 예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