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세 대응하고 있다” 32.5% 불과
물류비 지원·관세컨설팅 등 요청도
![]() |
오영주(뒷줄 오른쪽 네번째) 중소벤처기업부 장관과 김기문(뒷줄 오른쪽 세번째) 중소기업중앙회장이 최근 경기 화성시 알루미늄 제품 제조업체인 지제이알미늄에서 열린 미국의 철강·알루미늄 관세 부과에 따른 수출 중소기업 현장 간담회를 가졌다. [연합] |
미국 트럼프 행정부의 철강·알루미늄 및 파생상품에 대한 관세부과가 본격화된 가운데, 국내 관련 수출 중소기업들은 정확한 관세 정보를 파악하지 못해 어려움을 겪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따라 수출 중기들은 불확실성 해소를 위해 정부의 관세 정보 지원이 시급하다고 목소리를 모으고 있다.
중소벤처기업부(장관 오영주)와 중소기업중앙회(회장 김기문)는 31일 철강·알루미늄 관련 협동조합과 공동으로 실시한 ‘철강·알루미늄 및 파생상품 수출 중소기업 설문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이번 조사는 철강·알루미늄 및 파생상품 수출기업 600개사를 대상으로 실시됐다.
기업들이 미국 관세부과로 인해 겪고 있거나 앞으로 예상되는 애로사항으로는 ‘미국 관세정책에 대한 정확한 파악 어려움’이 41.8%(복수응답)로 가장 많았다.
이어 ▷‘관세 리스크로 인한 물류비용 상승’ 38.2% ▷‘수출국 다변화 비용 발생’ 36.5% ▷‘미국 관세 대상 여부 확인 어려움 28.2% ▷‘미국 거래처의 수출계약 지연·취소로 인한 경영애로’ 25.7% ▷‘미국 수출중인 국내 거래처 대상 발주 물량 감소’ 23.3% ▷‘미국 외 제3국에서의 수출 경쟁력 악화’ 22.7%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응답기업 가운데 관세 대응을 준비하고 있는 곳은 10곳 중 3곳 꼴인 32.5%에 그쳤다.
이들이 기업이 준비 중인 내용은 ‘생산비용 등 자체비용 절감 노력(52.8%)’, ‘미국 거래처와 관세 부담 논의(51.8%)’, ‘유관기관 설명회 참여 등 정보탐색(30.8%)’, ‘거래처와 장기계약 체결(14.4%)’ 순으로 나타났다.
관세부과에 따른 정부 지원 요청도 이어졌다.
관세부과에 따른 정부 지원 필요사항으로는 ‘관세 관련 정보제공(51.3%·복수응답)’을 최우선 과제로 꼽았다. 이어 ▷물류비용 지원 강화(46.7%) ▷융자·보증 등 정책자금 지원(40.5%) ▷법무·회계법인 등 관세 컨설팅(24.8%) ▷제3국 수출국 다변화 지원(19.2%) ▷전시회 등 미국 마케팅 지원(12.5%) 등이 뒤를 이었다.
중기부는 이번 설문조사 결과를 기반으로 애로신고센터를 통해 수출 중소기업의 애로를 신속하게 지원해 나갈 예정이다.
우선 15개 지역별 애로신고센터를 통해 수출전문관이 1차적인 상담·안내를 진행한다. 자금이 필요한 기업에 대해서는 지방중기청의 추천 절차를 거쳐 정책우선도 평가 면제 조치와 패스트트랙 절차 등을 통해 신속하게 자금을 지원할 예정이다.
특히, 중소기업이 가장 많이 요청한 관세 관련 정보제공에 적극 나설 예정이다. 중기부, 중기중앙회, 관세청 등과 협업을 통해 미국 관세 관련 최신 동향, 지원정책을 소개하고, 현장 애로 상담회와 병행하는 ‘미 관세부과 대응 중소기업 지원 설명 및 현장 상담회’를 개최한다. 최근 서울지역 설명회를 시작으로, 광주전남(4.7), 경기(4.9), 충청(4.11), 경상(4.15) 지역에서도 개최될 예정이다. 수출지원센터 홈페이지를 통해 카드뉴스, 리플릿, 지원정책 공고 등 관련 정보 및 정책 동향을 온라인을 통해 제공할 예정이다.
노용석 중소기업정책실장은 “철강·알루미늄 관세부과를 시작으로 자동차 관세, 상호관세 등 앞으로도 여러 분야에서 관세부과가 예고되고 있는 상황”이라며, “이러한 미국의 관세부과 조치에 신속하게 대응하기 위해 중기부 내 긴급대응반을 운영 중으로, 관세로 인한 중소기업의 피해·애로를 계속해서 모니터링하여 수출 중소기업 상황에 맞는 맞춤형 지원을 이어나가면서 관세로 인한 중소기업의 애로와 불확실성을 해소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유재훈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