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는 의사 면허가 없잖아” 휴학 의대생 컴백, 내년 정원 3058명? [세상&]

38개 의대 등록, 복학신청 3월 말 종료
교육부, 복귀율 보고 내년 의대 인원 결정
의대협 “포기하지 않겠다” 대회원 서신
수업거부 등 의정갈등 불씨는 여전해

서울대·연세대·성균관대·카톨릭대·울산대 등 ‘빅5’ 의대와 고려대 및 국가거점국립대인 충남대·부산대 의대 휴학생들이 전원 복학하며 1년 넘게 이어진 집단휴학 사태가 마무리 국면에 접어들었다. 사진은 31일 오전 서울 서대문구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모습. 임세준 기자


[헤럴드경제=김용재 기자] 31일 정부가 정한 의대생 복귀 시한이 도래했다. 이른바 ‘빅5’ 의대(서울대·연세대·성균관대·가톨릭대·울산대)를 포함해 대다수의 거점 국립대 의대 휴학생이 전원 등록을 마치면서 멀게만 느껴졌던 ‘의대교육 정상화’에도 한 걸음 다가섰다.

다만 일부 강경파 의대생들 중심으로 ‘수업 거부는 여전하다’는 입장도 여전하다. 이에 내년도 의대 모집 인원 역시 4월 말까지 정해지지 않고 안갯속이라는 이야기도 나온다.

이날 각 대학과 의료계에 따르면 이날 가천대, 건국대, 계명대, 단국대, 대구가톨릭대, 아주대, 원광대, 한양대 등이 의대생 등록 신청을 마감한다. 4월 초까지 등록 기한을 연장한 강원대와 전북대를 제외한 38개 의대는 이날까지 의대생 등록을 마감하는 셈이다.

정부와 대학가는 서울대를 비롯해 빅5 병원 의대생들이 사실상 전원 복귀 의사를 밝힌 상태기에 한숨을 돌렸다. 정부가 지난 7일 ‘전원 복귀’를 조건으로 내건 의대 증원 철회를 언급했을 때와는 사뭇 다른 모습이다.

그러나 의대 학장과 교수진의 설득과 동시에 제적 압박이라는 강경한 대응 방침이 이뤄지면서 의대생들 사이에서 변화가 생겼다. 가장 먼저 마감과 제적을 언급한 연세대가 ‘등록’을 결정하면서 학생들의 복학이 이뤄졌다.

복학 규모가 공개되지 않은 의대들의 상황도 크게 다르지 않은 것으로 알려졌지만, 일부 수도권 의대와 지방 의대를 중심으로 복귀 신청자가 절반을 넘지 않는 학교도 있는 것으로 파악됐다. 대학 측에서는 미복귀를 고수하는 일부 의대생도 결국에는 돌아올 것이라 기대하고 있다.

지방권 의대 관계자는 “절반 이상이 돌아오게 되면 결국 나머지 의대생들도 돌아오게 될 것”이라면서 “하루빨리 의대 교육이 정상화되었으면 한다”라고 말했다.

서울대·연세대·성균관대·카톨릭대·울산대 등 ‘빅5’ 의대와 고려대 및 국가거점국립대인 충남대·부산대 의대 휴학생들이 전원 복학하며 1년 넘게 이어진 집단휴학 사태가 마무리 국면에 접어들었다. 31일 오전 서울 서대문구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인근 신호등에 주황색 불이 켜져 있다. 임세준 기자


의대생들이 복귀했음에도 ‘의대 교육 정상화’는 여전히 시기상조라는 평가가 나온다. ‘수업 정상화’라는 고비가 남았다. 교육부는 내년도 의대 모집인원을 증원 이전인 3058명으로 되돌리는 조건으로 의대생 전원 복귀와 수업 정상화를 내걸었다. 의대생 전원 복귀에 대해선 ‘100%라는 이야기는 아니다’라고 선을 그었지만, 복귀율과 수업 정상화 여부를 두고 여러 문제가 튀어나올 수 있다.

일부 의대생들은 여전히 투쟁 의지를 드러내고 있다. 대한의과대학·의학전문대학원학생협회(의대협)은 대회원 서신에서 “포기하지 않겠다, 우리마저 침묵하면 오늘의 협박은 내일의 기준이 되며 불의는 정당화될 것”이라며 “온갖 협박과 유린, 계엄에도 결국 학생들은 한곳으로 모인다”라고 의지를 드러냈다.

그러면서도 “회원들이 꿈꾸는 의료의 모습을 규합하지 못한 것에 엄중한 책임을 느낀다”라며 “교육부와 그에 굴종한 학교로부터 끝까지 적법한 휴학원을 지켜내지 못한 것에 크나큰 사과의 말씀을 드린다”고 했다.

교육부는 이날까지 전국 의대의 복귀율을 취합하고 ‘전원’으로 볼 수 있을지 판단을 내린 후 조만간 입장을 발표할 예정이다. 다만 복귀율이 어느 정도든지 간에 1년여 만에 학생들이 돌아온 만큼 2026학년도 의대 모집인원은 증원 이전인 3058명으로 돌아갈 것으로 관측된다.

Print Friendl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