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산불 피해 경북·경남에 재난특교세 226억 추가 지원”

정부, 경북·경남·울산 산불대응 중대본 11차 회의 개최


고기동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장(행정안전부 장관 직무대행)이 1일 오전 경북도청 재난안전상황실에서 경북-경남-울산 산불대응 중대본 회의를 주재하고 모두 발언을 하고 있다.[행정안전부 제공]


[헤럴드경제=이태형 기자]정부가 경북·경남·울산에 발생한 산불로 인한 피해 복구를 위해 재난특별교부세 200여억원을 추가로 지원한다.

정부는 1일 경북도청에서 고기동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장(행정안전부 장관 직무대행) 주재로 경북·경남·울산 산불대응 중대본 11차 회의를 개최했다고 밝혔다.

이날 회의에는 산불 피해 현황, 추가 산불 예방을 위한 조치, 이재민 일상 회복을 위한 기관별 지원 대책을 논의했다.

먼저 피해 수습과 지역 안정화를 위해 행안부는 경북과 경남에 재난특교세 226억원을 추가로 지원한다. 지난 3월 지원한 81억원을 포함하면 총 307억원 규모이다.

재난특교세는 산불피해 잔해물 철거·처리, 이재민 임시주거 지원, 2차 피해 확산 방지를 위한 긴급 안전조치 등에 사용된다.

행안부는 지차제의 산불피해조사, 중앙피해합동조사를 거쳐 복구계획이 수립·확정되면 공공시설 복구비의 지방비 부담분 일부에 대해 재난특교세를 추가로 지원할 방침이다.

정부는 이와 함께 조속한 피해복구와 지역공동체 회복을 위해 ‘범정부 복구대책지원본부’를 구성해 운영할 계획이다.

신속한 산불 피해 조사를 위해 중앙재난피해합동조사단 운영에 앞서 사전 조사반을 현장에 파견해 지자체의 피해조사를 지원한다.

경북·경남의 중앙합동지원센터에는 총 72개 기관 102명이 참여해 이재민 구호, 시설·주거복구, 영농, 융자·보험·법률 상담 등을 안내하고 있다.

체육관·학교 등 임시대피시설에 머무는 이재민의 불편을 최소화하기 위해 이재민의 희망에 따라 연수·숙박시설로 이동시키고, 임시조립주택 공급과 장기적 주택 지원을 위해 민간전문가와 함께 설치자문단을 구성해 운영하고 있다.

자택으로 복귀하는 이재민을 위해서 한국전력공사는 고립지역 3개소에 대해 비상발전기를 활용해 전력을 공급하고, 정전 세대의 신속한 복구를 위해 피해지역에 인력을 집중하고 있다.

소방청은 추가 산불 예방을 위해 청명·한식 대비 전국 특별경계근무를 실시하고, 국립공원관리공단은 대형산불이 발생했거나 발생할 우려가 있는 8개 국립공원의 104개 탐방로를 통제하고 있다.

고기동 중대본부장은 “광범위한 지역에 발생한 산림소실, 인명·재산 피해의 신속한 복구에 관계기관의 역량을 결집해 줄 것”을 당부하며 “현장에서 피해 지역을 돕기 위해 이재민 생활지원, 의료지원, 시설 복구, 농기계 수리 등 다양한 분야에서 봉사해 주시는 분들께 감사하다”고 말했다.

Print Friendl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