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용 시 조기대선…“다음 단계 고려하자”
“탄핵찬성 여론, 민주당 지지로 끌어와야”
![]() |
이재명(앞줄 가운데) 더불어민주당 대표를 비롯한 지도부가 3월 31일 오전 서울 종로구 광화문 앞 천막당사에서 열린 최고위원회의에 참석해 회의 시작 전 피켓을 들고 구호를 외치고 있다. 임세준 기자 |
[헤럴드경제=양근혁 기자] 더불어민주당이 헌법재판소가 윤석열 대통령 탄핵심판 선고를 내리는 시점까지 ‘비상행동 체제’를 유지한다. 윤 대통령 파면을 촉구하는 막판 여론전에 총력을 기울이는 모습이다. 야권의 예상대로 탄핵이 인용되면 곧장 조기대선 정국이 시작된다는 점을 고려해 결집한 탄핵 찬성 여론을 민주당에 대한 지지로 흡수해야 한다는 인식도 깔려있다.
2일 정치권에 따르면 민주당 소속 국회의원들은 윤 대통령 탄핵심판 선고기일인 오는 4일까지 국회 경내에서 비상대기한다. 지난달 8일 윤 대통령이 석방된 이후 장외투쟁을 본격화하면서 설치한 광화문 천막당사도 유지한다. 매일 오전과 오후 두 차례씩 헌재 앞에서 소속 상임위 별로 조를 짜서 진행해 온 기자회견은 전날 선고기일이 지정되면서 천막당사로 장소를 옮겨 이어가기로 했다. 당내 초선 의원 조직인 더민초와 재선 의원 모임 더민재 등은 자체적인 의사결정을 통해 행동에 나선다. 민주당 지도부 관계자는 헤럴드경제와 통화에서 “의원들이 국회에서 비상대기하는 것을 기본으로 하되, 장외에서의 행동도 상황에 따라 할 수 있도록 방침을 세웠다”라고 설명했다.
민주당은 표면적으로는 윤 대통령 파면에 집중하겠다고 말하고 있지만, 당내에선 선고 이후 국면에 대한 대비가 중요하다는 목소리가 나온다. 수도권에 지역구를 둔 한 민주당 의원은 통화에서 “윤 대통령 파면은 예정된 것이고 이에 따라 60일 이내에 대선을 치러야 하는 상황”이라며 “탄핵해야 한다는 사람들이 다수지만 반대 세력의 목소리는 선고 이후로도 계속될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탄핵이 인용되면 극우세력들의 반발은 더욱 커질 가능성이 있다”라며 “조기대선까지 탄핵을 찬성하는 쪽의 여론을 민주당을 향한 지지로 끌어와야 한다”라고 강조했다. 한 중진의원도 “탄핵 선고는 이미 정해진 결과이고 장외투쟁으로 바꿀 수 있는 것이 아니다”라면서 “다음 단계를 고려해야 한다”라고 했다.
민주당은 한덕수 대통령 권한대행 국무총리와 최상목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에 대한 이른바 ‘쌍탄핵’ 추진은 보류하기로 했다. 헌재가 8인 체제 선고를 확정하면서 한 대행이 임명을 미루고 있는 마은혁 헌법재판관 후보자 임명에 대한 당장의 시급성이 해소되면서다. 이미 발의된 최 부총리에 대한 탄핵안은 본회의가 열리면 자동 보고되고 24시간에서 72시간 이내 표결을 해야 하지만, 민주당 원내지도부는 윤 대통령 탄핵심판 선고를 지켜본 뒤에 표결 방향을 결정하겠다는 입장이다. 김용민 원내정책수석부대표는 이날 오전 KBS라디오 전격시사 인터뷰에서 쌍탄핵 추진 여부에 대해 “헌정질서를 수호하기 위해서 국회가 해야 할 일들을 해나간다는 것에 대해서는 지금도 전혀 변한 것이 없다”면서도 “다만 그 방식과 시기를 어떻게 할 것인가에 대해서는 의원들의 총의를 다시 모아볼 필요는 있다”라고 언급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