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리 없는 관세” 전세계 충격 대응 모색
베선트 장관 “보복 나서지 말고 지켜보라”
미국이 전 세계를 향해 전례없이 높은 상호관세를 부과하면서 미국 사회를 비롯해 동맹국도 충격에 빠졌다. 대부분 국가가 “관세가 지나치게 높다”고 비판한 가운데 미국 내에서도 “국제 무역 시대의 갑작스러운 종말” 이라는 비판이 나왔다. 이같은 반발을 예상한 듯 스콧 베선트 미국 재무장관은 무역 상대국들을 향해 “보복 나서지 말아라”고 엄포를 놨다.
2일(현지시간) 뉴욕타임스(NYT)에 따르면 마크 카니 캐나다 총리는 미국을 향해 보복 의지를 재확인했다. 카니 총리는 “트럼프의 상호관세는 국제 무역 시스템을 근본적으로 바꿀 것”이라며 “이는 수백만 명의 캐나다인에게 직접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기 때문에 우리는 관련 대응 조치를 취할 것”이라고 밝혔다.
상호관세 표적국이었던 유럽연합(EU)도 예상보다 높은 상호관세율 20%에 혼란에 빠졌다. 안토니오 타지니 이탈리아 외무장관은 “유럽 국가들과 함께 공동 대응을 위해 협력하고 있다”며 “신성한 유럽의 이익을 보호하는 건설적인 협상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존 플렉 대서양 위원회 유럽 센터의 수석 책임자는 “주식시장이 문 닫는 오후 4시에 발표한 이유가 있었다”며 “EU에 대한 상호관세 20%는 소비자와 기업에 고통스러울 정도로 매우 높은 수치”라고 평가했다.
앤서니 알바니즈 호주 총리는 이번 상호관세에 대해 “(상호관세 부과) 논리에 근거가 없다”며 “진정한 상호 관세는 0%”라고 말했다.
이러한 우려를 예상한 듯 트럼프 행정부에서는 보복 관세에 대해 엄포를 놓기도 했다. 스콧 베선트 미국 재무장관은 이날 폭스뉴스와의 인터뷰에서 “모든 국가에 보내는 충고는 보복에 나서지 말라는 것”이라며 “순순히 받아들인 뒤 어떻게 상황이 전개되는지 지켜보라”고 말했다. 베선트 장관은 “만약 보복 조치를 한다면 상황은 더 악화할 것이지만, 보복 조치가 없다면 더 이상 올라가지 않을 것”이라고 밝혔다. 김빛나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