與 김문수 우세…野 이재명 독주 [헌재 尹대통령 전원일치 파면]

‘30%대 지지율’ 李 경선 모드로
보수진영 잠룡 ‘15명 안팎’ 거론


여야 잠룡들은 윤석열 대통령 파면 결정에 따라 ‘60일 이내’ 치러지는 조기대선 레이스에 시동을 걸게 됐다. 야권은 유력 대권주자인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를 필두로 대대적인 정권 교체론을 띄울 전망으로, 비명(비이재명)계의 견제 규모와 수위가 관건이다. 보수 진영은 ‘다크호스’ 김문수 고용노동부 장관의 우세 속에 춘추전국시대를 방불케 하는 주자 간 경쟁 구도가 벌어질 가능성이 높다.

민주당은 이 대표를 중심으로 본격적인 조기대선 경선 모드에 들어갈 것으로 보인다.

한 민주당 재선 의원은 헤럴드경제에 “탄핵이 인용된 만큼 이제 경선을 준비해야 한다”며 “이 대표를 중심으로 경선을 이끌어 나가지 않겠나”라고 말했다. 이 대표는 복수의 여론조사에서 30%대 지지를 받으며 진영을 불문한 여야 후보들을 압도하고 있다.

이 의원은 “형식적인 경선이야 하겠지만 의미가 있겠나”라며 이 대표의 독주 양상이 계속되면 경선이 형식적 절차에 그칠 가능성을 거론했다. 한 수도권 중진 의원도 “당연히 경선을 하고, 민주적 절차에 의해서 대선 후보를 정하고 그 후보를 중심으로 선대위를 꾸려서 조기대선을 치르겠지만 이 대표 중심의 단일대오로 가지 않을 이유가 있나”라고 했다.

이 대표의 아성에 도전장을 던질 비명 주자들도 주목받고 있다. 국민적 관심이 집중되는 조기대선 경선판이 존재감을 드러낼 장(場)이 될 것이란 시각이다. 민주당에선 김경수 전 경남도지사, 김동연 경기도지사, 김부겸 전 국무총리, 김두관 전 의원 등이 비명계 대권주자로 거론돼왔다. 중진 의원은 “경쟁력을 떠나서 본인의 입지나 위상 또 존재감을 드러낼 수 있는 계기”라며 “이를 활용하는 분들이 꽤 나올 것”이라고 했다.

조국혁신당이 제안한 범야권과 시민사회의 ‘오픈 프라이머리(완전국민경선)’ 제안도 변수다. 이 대표를 제외한 야권 잠룡 주자 다수가 제안에 “환영한다”고 화답했는데, 김동연 지사는 지난달 4일 자신의 사회관계망서비스(SNS)를 통해 “민주당의 활발한 논의와 조속한 결정을 촉구한다”고 한 바 있다.

보수 진영에서는 후보군이 많게는 ‘15명 안팎’에 달할 것이란 관측이 나온다. 앞서 실시된 다수의 여론조사에 이름을 올린 대권주자들 외에 중진, 국민의힘 소속 시·도지사 등 유력 정치인들이 모두 뛰어들 수 있다는 것이다. 3일 발표된 전국지표조사(NBS)의 차기 대통령 적합도 조사에서 보수 잠룡들은 김문수 장관(9%), 오세훈 서울시장·홍준표 대구시장·한동훈 전 국민의힘 대표(각 4%), 유승민 전 의원·안철수 국민의힘 의원(각 2%), 이준석 개혁신당 의원(1%) 순으로 이름을 올렸다. 여기에 지난 대선 출사표를 던졌던 원희룡 전 국토교통부 장관과 최근 대권 도전 가능성을 시사한 유정복 인천시장, 이철우 경북지사, 5선의 나경원·윤상현 의원도 주자군으로 거론된다.

이 경우 ‘이재명 1강’인 야권에 비해 경선 흥행 가능성이 높다는 점에서 여론 지형이 출렁거릴 수 있다는 기대감도 존재한다.

본격적인 조기대선 레이스와 함께 ‘이재명 대 반(反)이재명’ 구도가 형성되는 과정에서 각 후보들이 눈도장을 찍으며 정치적 체급을 키울 수 있다는 점도 있다. 한 중진 의원은 “민주당과 다르게 많은 주자들이 나오면 경선이 치러지는 3주 동안 (국민들의) 시선을 잡아둘 수 있을 것”이라고 했다.

하지만 거론되는 이들이 실제 대권 행보에 나서기까지는 시간이 걸릴 전망이다. 대통령 파면 결과에 분노하는 지지층 앞에서 당장 대선 표심을 호소하며 나설 수 없기 때문이다.

대선주자로 분류되는 한 여권 인사 측 관계자는 “당장 메시지나 일정을 미리 정해놓은 것이 없다”고 했다. 영남권의 한 재선 의원은 “길게는 일주일 정도 (지지층의) 눈치를 보며 조심스러울 것”이라고 전망했다. 그러면서 “지지층도 현실을 받아들이고 나면 진짜 본선 경쟁력이 있는 후보가 누구인지 고민하게 되면서 자연스럽게 조기대선 모드로 넘어가게 될 것”이라고 했다. 김진·박자연 기자

Print Friendl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