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유엔 인권이사회 북한 인권 결의 채택 환영”

“올해로 10년 연속 채택…국제사회 우려 보여줘”


북한 김정은 국무위원장이 3일 준공을 앞둔 화성지구 3단계 구역에 건설된 중요봉사시설들의 운영준비정형을 현지에서 지도했다고 조선중앙통신이 4일 보도했다. [연합]


[헤럴드경제=문혜현 기자] 정부는 3일(현지시간) 제58차 유엔 인권이사회에서 우리나라를 포함한 54개국이 공동제안국으로 참여한 북한 인권 결의가 컨센서스로 채택된 것을 환영한다고 밝혔다.

외교부는 이날 대변인 성명을 통해 “유엔 인권이사회가 올해로 10년 연속 북한 인권 결의를 컨센서스로 채택한 것은 북한 인권 상황의 심각성과 이에 대한 국제사회의 우려를 보여주는 것”이라며 “북한 인권 개선을 촉구하는 국제사회의 단합된 메시지를 발신한 것으로 평가한다”고 했다.

우리 정부는 이번 결의안 문안 협의 과정에 적극 참여해 북한 강제노동이 반인도 범죄인 노예화에 해당될 가능성을 지적하는 문안을 추가하는 등 북한의 강제노동 관련 문안 강화에 기여했다고도 했다.

외교부는 또한 “북한에 자의적으로 구금된 사람들의 즉각 석방을 촉구하는 문안을 추가함으로써, 우리 국민 선교사 3명을 포함한 북한내 억류자 문제의 해결 필요성을 적극 제기했다”고 했다.

이번 결의에는 북한군 러시아 파병에 대한 국제사회의 우려를 반영했다. 민간인 고통과 인권 침해를 심화하고 국제안보를 불안정하게 만들 수 있는 지역에서 북한이 치명적이고 과도한 무력 사용을 삼갈 것을 촉구하는 내용이 포함됐다.

외교부는 이에 대해 “우리 정부는 북한 인권 결의가 지적하고 있듯이 북한내 조직적이고 광범위하며 중대한 인권 침해가 지속되고 있는 점에 깊이 우려한다”며 “올해 9월 제60차 인권이사회에 제출될 유엔 인권최고대표의 북한 인권 상황 관련 포괄적 보고서와 확대 상호대화 등 다양한 계기에 심각한 북한 인권 상황에 대한 심도있는 논의가 지속되기를 기대한다”고 했다.

그러면서 “우리 정부는 인권이사회 이사국으로서 인권이사회를 비롯한 유엔 차원에서 북한 인권 상황의 심각성을 알리고, 북한 인권 상황 개선을 위한 다차원적인 노력을 지속해 나갈 것”이라고 했다.

통일부도 환영 입장을 냈다. 통일부는 “정부는 북한 내에서 조직적이고 광범위하며 중대한 인권 침해가 지속되고 있는 점을 깊이 우려한다”며 “북한이 납북자·억류자·국군포로 문제 해결에 적극적으로 나서고 강제송환 탈북민들에 대한 비인도적 대우를 중단하는 등 인권 상황 개선에 필요한 모든 조치를 취할 것을 촉구한다”고 밝혔다.

이어 “정부는 북한의 강제노동 실태와 북한군의 러시아 파병으로 인한 비인도적 상황에 우려를 표한다”며 “앞으로도 정부는 북한인권의 실질적 증진을 위해 국제사회와 긴밀히 협력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Print Friendl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