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 만난 뮤직비디오’…지드래곤 ‘엔터테크’ 새 지평

오픈AI ‘소라’로 만든 ‘홈 스윗 홈’ 뮤비 공개
KAIST 우주연구원 협업…음원 우주 송출
음악에 맞춰 로봇개 재롱에 관객 폭소
“정답이 아닌 문제 찾아야”…학생들에 조언


9일 대전 카이스트(KAIST) 류근철 스포츠컴플렉스에서 헤럴드미디어그룹 주최로 열린 ‘이노베이트 코리아 2025’에서 지드래곤 KAIST 교수 겸 가수가 ‘AI와 엔터테크의 미래’를 주제로 대담을 나누고 있다. 대전=임세준 기자


[헤럴드경제(대전)=권제인 기자] “창조적 발상을 멈추지 마세요” (가수 지드래곤)

지드래곤 카이스트(KAIST) 교수 겸 가수가 헤럴드미디어그룹이 주최한 국내 최고의 ICT·과학 행사 ‘이노베이트 코리아 2025’에서 ‘엔터테크’의 새 지평을 열었다. 인공지능(AI)을 활용해 만든 ‘홈 스윗 홈(HOME SWEET HOME)’ 뮤직비디오를 깜짝 공개하며 기술과 예술의 만남이라는 새로운 경험을 제시했다.

지난 9일 대전 KAIST 류근철 스포츠컴플렉스에서 헤럴드미디어그룹 주최로 열린 ‘이노베이트 코리아 2025’에서 지드래곤은 오픈AI의 동영상 생성 AI ‘소라(Sora)’로 만든 ‘홈 스윗 홈’ 뮤직비디오를 최초 공개했다.

뮤직비디오는 사막의 소년과 도시의 남성, 우주인 세 사람이 자신의 집을 찾아가는 여정을 담았다. 지드래곤이 큐레이팅을 담당했으며, 영상 우측 하단에는 오픈AI의 로고를 넣어 AI를 활용한 창작물임을 표시했다.

9일 대전 카이스트(KAIST) 류근철 스포츠컴플렉스에서 헤럴드미디어그룹 주최로 열린 ‘이노베이트 코리아 2025’에서 지드래곤의 ‘홈 스윗 홈(HOME SWEET HOME)’ 뮤직비디오가 공개되고 있다. 대전=임세준 기자


1분 남짓한 뮤직비디오를 숨죽인 듯 지켜보던 관객들은 이내 환호성을 터트렸다. 지드래곤은 “뮤직비디오 제작, 무대 구성에서 신기술을 활용하면 더 효율적이고, 더 많은 사람과 협업하는 느낌을 받는다”며 “내 데이터를 좀 더 체계적으로 학습시킨다면 갈수록 재밌어질 것 같다”고 소회를 밝혔다.

이날 KAIST 우주연구원과 지드래곤은 ‘홈 스윗 홈’ 음원을 지구 너머로 보내는 ‘우주 음원 송출 프로젝트’도 공개했다. 과학기술, 예술, 대중음악이 결합된 융복합 프로젝트로, 행사가 끝난 뒤 ‘홈 스윗 홈’ 음원은 오디오 메시지로 결합돼 우주연구원의 13m 크기 우주 안테나를 통해 차세대 소형위성과 우주로 송출됐다.

지드래곤은 “뮤직비디오를 편지라고 가정한다면, 주소도 정확히 모르고 받을 사람도 불분명하지만 어딘가에 가닿을 것이란 기대를 품게 된다”며 “‘홈 스윗 홈’은 빅뱅 멤버들이 함께한 곡이고, (우주대폭발을 뜻하는) 그룹명을 생각하면 우주로 나아가 원래 자리를 찾는 것 같다”고 풀이했다.

9일 대전 카이스트(KAIST) 류근철 스포츠컴플렉스에서 헤럴드미디어그룹 주최로 열린 ‘이노베이트 코리아 2025’에서 지드래곤 KAIST 교수 겸 가수가 ‘AI와 엔터테크의 미래’를 주제로 대담을 나누고 있다. 대전=임세준 기자


지드래곤은 지난해 ‘이노베이트 코리아 2024’에서 KAIST 기계공학과 초빙교수로 임명돼 과학기술을 문화산업에 접목하는 다양한 실험을 이어오고 있다. 지난달 열린 단독 콘서트 ‘위버맨쉬 인 코리아(bermensch IN KOREA)’에서도 로봇개, 디에이징 기술, 드론 등 과학기술을 적극 활용했다.

그는 “무대는 점점 커지고 표현하고자 하는 게 많아지지만, 물리적 한계로 모든 사람에게 전달될 수 없었다”며 “무대를 만드는 사람으로서 기술의 도움이 필요했다”고 취지를 설명했다. 이어 “예술에 종사하는 입장에서 과학과 수학 모두 예술에 포함된다고 생각한다”며 “뭔가를 창조해 내고, 창조해 낸 것을 많은 사람이 즐기고 도움받을 수 있다는 점에서 그렇다”고 말했다.

콘서트에 이어 이날 ‘이노베이트 코리아 2025’ 무대에도 로봇개가 함께 등장했다. 로봇개는 지드래곤의 ‘파워’와 ‘삐딱하게’에 맞춰 네 발과 몸을 흔들거나 제자리를 돌았다. 로봇개의 ‘재롱’에 무대와 관객석 모두에서 웃음이 터져 나왔다.

9일 대전 카이스트(KAIST) 류근철 스포츠컴플렉스에서 헤럴드미디어그룹 주최로 열린 ‘이노베이트 코리아 2025’에서 지드래곤 KAIST 교수 겸 가수가 ‘AI와 엔터테크의 미래’를 주제로 대담을 나누고 있다. 대전=임세준 기자


지드래곤은 “운명처럼 ‘빅뱅’이란 이름으로 시작해 이론과 과학에 계속 끌린다”며 “예술과 과학이 하나 돼서 새로운 경험을 선사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앞으로도 신기술을 적극 활용할 것이냐는 질문에는 “카이스트가 뭘 갖고 있느냐에 따라 달라질 것”이라며 “최대한 기술을 잘 사용해서 대중가수로서 기술과 과학을 일반대중에게 알리는 매개체 역할을 하겠다”고 밝혔다.

지드래곤은 자신을 만나기 위해 새벽부터 기다린 KAIST 학생들에게 조언을 아끼지 않았다. 그는 “창작은 스스로 좋아서 하는 일이고, 계속 질문을 던지며 살아있음을 느낀다”며 “여러분의 학교생활도 그리 다르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지금에 안주하기보다 계속해서 호기심을 갖고, 정답이 아닌 문제를 찾는 자세가 필요하다”며 “남들이 그냥 지나칠 수 있는 것들을 재밌게 상상하다 보면 현실이 된다”고 격려했다.

지드래곤이 “다음에는 학생들과 개인적으로 대화하고 싶다”고 밝히자 관객석을 가득 채운 KAIST 학생들은 큰 환호성으로 화답했다.

Print Friendl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