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달 안상구(이병헌 분·사진)는 비리 정치인과 기업 회장의 뒤치다꺼리를 하며 야망을 키운다. 우연히 비자금 파일을 손에 넣은 안상구는 단꿈을 꾸지만, 사실이 들통나면서 끔찍하게 응징당한다. 한편, 지방대·경찰 출신의 검사 우장훈(조승우 분)은 소위 ‘빽’이 없다는 이유로 승진의 문턱에서 좌절하는 인물이다. 그는 숨어 지내는 신세가 된 안상구를 찾아간다. 안상구를 이용해 비자금 사건을 성공적으로 처리한다면 조직에서 인정받으리라는 희망 때문이다. 안상구 역시 일당에게 복수할 기회를 노리던 참이었다. 둘은 비리 정치인과 재벌은 물론, 유착관계 배후에 있는 신문사 논설주간 이강희(백윤식 분)까지 잡아들이기 위해 움직인다.

누군가는 현실이 영화보다 더 영화같다고 했다. 영화 ‘내부자들’(감독 우민호ㆍ제작 (유)내부자들 문화전문회사)은 외면하고 싶은 추악한 현실을 스크린 위에 펼쳤다. 그래서 더 극적이다. 정치판부터 언론·검찰·경찰 조직까지 권력의 눈치를 보지 않는 곳이 없다. 이익에 따라 야합과 배신을 밥 먹듯 하는 군상, 방해꾼은 철저하게 짓밟는 권력자들의 행태는 약육강식의 사파리보다 비정하다. 영화적 과장이라는 생각은 들지 않는다. 오히려 뉴스에서 접한 사건들이 떠올라 기시감이 든다. 최소한 ‘가발 쓰고 나타난 아내를 남편도 못 알아보는’ 막장 드라마보다는 현실적이다.
권력의 민낯을 드러낸 몇몇 에피소드는 담담하게 보기 힘들 만큼 개탄스럽다. 비자금 사건에 얽힌 전(前) 은행장은 이강희 일당에게 협박받고 스스로 목숨을 끊는다. 카메라는 곧장 이강희의 책상 위를 비추는데, 은행장의 자살을 전제로 써둔 칼럼이 놓여 있다. 그가 협박을 견디지 못하고 극단적인 선택을 할 것을 예상했던 것이다. 뿐만 아니라 안상구가 우 검사와 손잡고 비자금 폭로 기자회견을 열자, 이강희 일당은 안상구 주변인을 매수해 그에게 각종 범죄를 뒤집어씌운다. 안상구가 파렴치한으로 몰리자 그의 기자회견 또한 대국민 사기극으로 외면 당한다. 대중의 눈과 귀를 막고, 진실을 거짓으로 둔갑시키는 권력의 무서움을 확인하는 순간이다.
그럼에도 영화는 어떤 ‘내부자들’의 힘에 대해 말하고자 한다. 영화 ‘소수의견’과 ‘베테랑’은 사회 구성원이 각자 위치에서 자신의 역할에 충실한 것이, 사회가 상식적으로 굴러가는 기본이라고 말한다. 경찰이 경찰답고, 검찰이 검찰답고, 언론이 언론답다면, 부조리한 일이 공공연하게 벌어질 수 없다는 것이다. 정의보다 이익을 좇는 ‘내부자들’이 생겨나면 조직은 병들기 시작한다. 제 역할을 못하는 조직이 늘어가면 사회는 망가지는 법이다. 반면, 어떤 내부자들은 역설적으로 병든 사회를 정화할 희망이 될 수 있다. ‘나 하나 달라진다고 세상이 바뀌겠느냐’는 무기력이 만연하지만, 누군가 자꾸 돌을 던지다보면 견고한 시스템에도 균열이 생기기 마련이다. 권력을 비호하던 안상구, 권력집단에 속한 우장훈 검사와 같은 ‘내부자들’이 그 일을 할 수 있다고 영화는 말한다.
ham@heraldcorp.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