은행 ‘문턱’ 높이자 2금융 몰려든 대출…6개월간 35조 급증

은행권에서 막힌 대출이 제2금융권으로 옮겨가는 이른바 ‘풍선효과’는 가계부채의 또 다른 뇌관이다.

대출 ‘규모’도 문제지만 ‘질’에 대한 우려까지 더해지면서다. 이에 따라 금융 당국이 오는 25일 내놓는 가계부채 관리방안에서 이들에 대한 관리를 강화하는 대책을 마련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더욱 높아지고 있다.

정부가 은행권 대출을 억제하자 저축은행, 상호금융, 새마을금고, 생명보험, 자산운용사, 신탁회사 등 비은행기관의 대출이 급증하고 있다.

한국은행에 따르면 제2금융권의 6월말 기준 여신 잔액은 671조6752억원으로 지난해 말(636조7843억원)에 비해 34조8909억원 증가했다. 이는 한국은행이 1993년 관련 통계를 작성한 이후 상반기 기준으로 최대의 증가폭이다.

특히 상호금융이 제2금융권의 여신 증가를 주도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농협, 신협 등 상호금융 여신 잔액은 6월말 기준 209조6037억원으로 비은행기관 중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한다.

제2금융권 대출 증가는 2월부터 시행된 은행권의 여신심사 가이드라인 때문이다.

은행권 대출심사가 강화되자 서민들이 비은행권으로 몰리는 ‘풍선효과’가 발생한 것이다. 반면 은행권 주택담보대출은 대폭 줄었다. 특히 여신심사가이드라인에는 집단대출이 포함되지 않지만 대출 심사를 강화하는 과정에서 분양률이 떨어지거나 시장성이 낮은 건설사의 경우 은행권 집단대출을 거절당하면서 집단대출도 2금융권으로 쏠리고 있는 것으로 파악됐다.

제2금융권 이용자들은 주로 신용도가 낮은 서민층이나 다중ㆍ고액 채무자가 많다는 점에서 은행권 대출보다 더 우려를 키우고 있다.

금리가 올라갈 경우 채무불이행자가 대량으로 발생할 수 있다.

제2금융권 가계대출 급증으로 인한 대출 건전성에 대한 경고는 나온 지 이미 오래다. 그럼에도 이에 대한 대출 심사 강화는 계속 보류돼 왔다. 보험업권만 지난 7월 여신심사가이드라인을 적용해 대출을 제한하고 있다. 때문에 오는 25일 관계기관이 합동으로 내놓을 가계부채 관리방안에 제2금융권 대출 규제에 관한 내용이 담길지가 주목되고 있다.

한희라 기자/hanira@heraldcorp.com

Print Friendl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