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럼프 시대, 한국경제 어디로] 무역흑자 축소ㆍ민관합동 대응팀…‘트럼프 리스크’ 대응 속도전

[헤럴드경제=유재훈ㆍ배문숙 기자] 한국 경제가 ‘트럼프 시대’라는 전인미답의 길 위에 섰다. 기존 정치ㆍ외교ㆍ경제 문법과 거리가 먼 트럼프의 ‘아웃사이더’ 기질은 글로벌 경제에 불확실성 공포를 확산시키고 있다.

한국 경제 역시 그 여파에서 자유롭지 못하다. 장벽을 높여가는 보호무역 기조에 달러화는 요동치고 있다. 여기에 올해 미국 연방준비은행이 추가 금리인상을 예고하면서 우리 경제팀의 대응책 마련도 바빠지고 있다.

우선 정부는 오는 4월 미국 재무부의 환율보고서에서 한국을 ‘환율 조작국’으로 지정하는 막기 위해 다양한 방안을 모색하고 있다. 유 부총리는 지난주 미국을 방문해 트럼프 당선자의 경제자문단을 이끄는 스티븐 슈워츠만 블랙스톤 회장을 만나 “대미 무역흑자를 줄일 다양한 방법을 찾고 있다”고 역설했다. 이를 위해 정부는 지난해 말 발표한 ‘2017년 경제정책방향’에서 미국산 셰일가스 280만톤을 들여오겠다고 밝힌 바 있다. 유 부총리는 또 최근 한 강연에서 “에너지 외에도 미국에서 수입을 늘릴 수 있는 분야가 있다면 그렇게 할 것”이라며 추가 대책 마련도 시사했다.

이와 함께 ‘트럼프 시대’를 맞아 통상 등 경제분야의 민관공동 대응 시스템도 구축된다.

정부는 19일 정부서울청사에서 주요 경제부처와 무역협회, 코트라 등 주요기관 관계자들이 참석한 가운데 ‘제5차 대미(對美) 통상 실무작업반 회의’를 갖고 대응 방안을 논의했다.

우태희 산업통상자원부 2차관은 이날 회의에서 “미국의 신정부 출범 이후 특이상황 발생시에는 민첩하게 대응할 수 있도록 민관 공동 대응체계를 강화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앞서 정부는 이를 위해 민간 업종별 협회 등이 참여하는 ‘민관 합동 수입규제 대응협의회’를 설치하고, 미국 공관을 중심으로 현지대응반을 가동키로 했다.

또 신정부 출범 직후부터 정부와 민간 채널을 총동원해 미국 신정부ㆍ의회 간 전방위 소통채널을 구축하는 데 집중할 예정이다.

이와 관련 경제 전문가들은 이 같은 대책들이 일회성이 아닌 우리나라 차기 정부까지 이어질 수 있도록 긴 호흡으로 꾸려져야 한다는 목소리다.

성태윤 연세대 경제학부 교수는 “현 우리 정부가 몇 달안에 끝날 가능성이 높은 상황”이라며 “결국은 우리도 새로운 정부 출범이후 정책 방향을 명확히하고 미국과의 관계를 상호호환적인 관계를 맺어가야 한다”고 조언했다.

igiza77@heraldcorp.com

Print Friendl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