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문학 어벤져스’라는 말이 부담없이 시청자에게 다가갈 수 있었던 것도 그런 것 때문이다. 예능인들이 방송에 나와 웃기는 것만 재밌는 게 아니라(이들이 안 웃길 때도 많으며, 왜 내가 그들이 웃기는 걸 봐야하는지 하는 생각이 들기도 한다. 다른 재미와 웃음이 기다려진다) 지식도 재미의 한 축이 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http://heraldk.com/wp-content/uploads/2017/06/20170628000265_0.jpg)
‘알쓸신잡’은 인문학을 대중화하거나 또는 인문학을 상품화한다기 보다는 자기 분야와 자기 세계가 확고한 사람들이 풀어놓는 수다를 통해 다양한 이야기를 흡수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이런 잡학 이야기들이 부딪쳐 새로운 영감과 통찰이 나올 수도 있다.
흥미로운 점은 제목에 붙어있는, 사회적 통념을 비튼 ‘쓸데없는’이라는 단어다. 쓸데 있는지, 없는지를 결정한 것은 기능적, 실용적 관점이었을 것이다. 기자도 이런 통념에서 볼때 쓸데없는(?) 역사학을 전공했다. 대학 재학 시절부터 “사회 나가면 별 쓸모 없을텐데”라는 말을 하도 많이 들어 ‘쓸데없는’이라는 말이 별로 어색하지도 않다.
그런데 대중문화 담당인 기자는 업무에 역사학을 아주 요긴하게 써먹는다. 역사학 외에 ‘쓸데없는’ 과로 분류되는 철학과 문학을 좀 더 공부했더라면 하는 아쉬움도 생긴다. 물론 일반기업에 가지 않고 문화부 기자를 하기 때문에 역사 공부가 도움이 된 것이라고 말할 수도 있다.
하지만 조금 더 넓게 바라볼 필요가 있다. 역사를 공부하면 현상과 사안을 좀 더 기본적이고 폭넓게 바라보는 안목이 생기므로 다른 분야에도 응용할 수 있다.
필자의 대학 재학시절 사학과는 역사를 공부하는 학생과 역사를 공부하지 않는 학생, 두 부류로 나뉘어졌다. 역사를 공부하는 학생은 교수와 연구원이 될 사람이었고, 역사를 공부하지 않는 학생은 취준생(취업준비생)이었다. 하지만 역사 공부를 열심히 해서 취업할 수 있는 곳도 많다. 문화와 콘텐츠 관련 업무에는 역사를 알면 큰 도움이 된다.
여기에 ‘알쓸신잡’이 기여하는 부분이 있다. 이를 보면서 인문학도 재미있고 쓸데 있다는 사실을 느낀다면 ‘알쓸신잡’은 큰 기여를 하고 있는 셈이다.
/wp@heraldcorp.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