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일 용산정비창 개발계획 발표 이후
집주인·투자자 문의 이어지는 용산
임대주택 등 개발방식 의견은 엇갈려
[헤럴드경제=양영경 기자] “그렇다고 너무 급하게 생각하지 마세요. 길게 보고 가셔야죠”
8일 오후 서울 용산구 서부이촌동의 한 공인중개업소. 공인중개사는 “당장 매물을 사들여야 하는 게 아니냐”는 손님의 전화에 조곤조곤 설명을 이어갔다. 수화기 너머에서 들려오는 한 여성의 목소리엔 조급함이 느껴졌다. 정부가 지난 6일 용산역 철도 정비창 부지에 8000가구를 공급하겠다고 밝힌 이후의 일이다. 이 중개사는 통화목록을 살피며 전날에도 비슷한 문의가 20건가량 들어왔다고 했다.
서울 용산구 이촌동 시범중산아파트 [양영경 기자/y2k@] |
용산 일대 부동산시장이 들썩이고 있다. 서울 중심 ‘금싸라기 땅’으로 불리면서도 수년간 방치됐던 철도 정비창 부지(51만㎡)를 정부가 개발하기로 했기 때문이다. 이 부지의 30%에는 임대주택 2000가구 이상을 포함해 총 8000가구가 들어선다. 도심 한복판에 ‘미니 신도시’가 생기는 것이나 다름없다.
정비창 부지와 맞닿은 서부이촌동엔 집주인은 물론 외부 부동산, 투자자의 문의가 집중됐다. 중개업소들은 낮기온이 26도까지 오른 이날 문을 활짝 연 채 손님을 맞거나, 전화 응대를 하는 데 분주한 모습이었다. 코로나19 확산으로 거래는 물론 문의조차 뜸했던 데서 분위기가 달라졌다고 입을 모았다.
집주인은 대부분 긴가민가하고 있다는 전언이 이어졌다. 그간 개발사업이 번번이 좌초됐기 때문이다. 정비창 부지는 지난 2006년 서울시의 ‘한강르네상스’ 사업과 연계해 용산국제업무지구로 개발될 예정이었다. 사업비만 31조원 규모로 ‘단군 이래 최대 개발사업’이라는 별칭도 붙었지만, 글로벌 금융위기 여파로 사업이 백지화됐다. 2018년엔 박원순 서울 시장이 ‘여의도·용산 통개발’ 구상을 언급하면서 재차 주목받았으나, 서울 주택시장이 달아오르자 계획이 무기한 보류됐다. 이촌동 대림아파트 인근 A 중개사는 “이번 개발은 현실화될 가능성이 큰지 묻는 집주인이 많았다”며 “임대주택이 대거 들어오는 것에 대한 우려도 컸다”고 말했다.
서울 용산구 이촌동 일대 공인중개업소에 내걸린 ‘매물구함’ 광고문 [양영경 기자/y2k@] |
이 일대는 아파트 단지를 다 합쳐도 2000여가구로, 매물 자체가 많지 않은 곳이다. 정부 계획이 발표된 직후여서 기존 매물과 호가는 대체로 유지되는 상황이었지만 발 빠르게 움직인 사례도 나오고 있다. B 중개사는 “중산시범, 대림아파트에서는 집주인이 매물을 거둬들인 사례가 나왔고, 나머지 단지는 계속 내놓을 건지 확인을 해야 하는 단계”라며 “꼭 팔아야 하는 사람 중에선 호가를 2000~3000만원 올리겠다는 사람도 있었다”고 했다.
매수 희망자도 마찬가지다. C 중개사는 “외부 부동산에서 시범아파트 거래를 하겠다고 계좌번호를 달라는 연락이 왔다”고 했다. 지은 지 50년이 넘은 이 단지 전용 59㎡의 시세는 6억5000만~7억원이다. 현장에서는 대림아파트 매물을 보고 왔다는 매수 희망자도 만날 수 있었다. 거래를 서두르는 사람은 이 지역의 집을 오랜 기간 봐왔던 사람들이라는 게 중개사의 설명이다.
정비창 부지 개발 방식에 대한 의견은 엇갈렸다. D 중개업소 관계자는 “단순히 임대주택이 많이 들어온다는 것보다 교통·인프라가 개선될 수 있다는 점에 주목해야 한다”며 “노는 땅을 만들 바에 뭐라도 하는 것이 낫다”고 했다. 반면 한 중개사는 “금싸라기 땅을 굳이 임대주택이 많은 아파트촌으로 활용할 필요가 있느냐”며 “이전에 나왔던 계획보다 실망감이 크다는 집주인의 전화가 이어지고 있다”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