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은행이 지난해 2·4·5·7· 8·10·11월과 올해 1월에 이어 22일 기준금리를 다시 3.50%로 묶었다. 아홉 차례 연속이자 1년째 동결이다.
한은 금융통화위원회(금통위)는 이날 통화정책방향 회의에서 현재 기준금리(연 3.50%)를 조정 없이 동결했다고 밝혔다. ▶관련기사 19면
통화정책의 목표인 물가가 충분히 떨어지지 않은 데다가 가계대출 증가세도 확실히 꺾였다고 보기 어려운 만큼 일단 금리를 묶어둔 것으로 풀이된다. 2월 기대인플레이션율은 3.0%로 여전히 높고, 가계대출 잔액 역시 지난해에만 19조원 가까이 늘며 1886조원으로 사상 최대치를 경신한 상태다.
미국(5.25~5.50%)과의 금리 역전 폭(최대 2.0%포인트)이 큰 상황에서 먼저 금리를 인하하기도 어렵다.
하지만 부동산 프로젝트 파이낸싱(PF)을 중심으로 고조된 대출 부실 위험과 경기 둔화 우려 등을 감안하면 기준금리를 낮출 유인도 충분하다. 이에 따라 1년 째 동결은 사실상 인하 시점을 저울질하고 있는 것으로 읽히고 있다. 때문에 시장의 관심은 ‘금리를 언제 내릴 것인가’로 쏠리게 됐다. 전문가들은 오는 6월께 미국이 기준금리를 낮추면 한은이 하반기 이를 반영해 통화정책 방향을 틀 것으로 보고 있다. 다만 경제 상황에 따라 4분기까지 미뤄질 수 있다는 전망도 나온다. 한편 한은은 이날 ‘수정 경제 전망’에서 지난해 11월 발표한 올 경제성장률(2.1%)와 소비자물가상승률(2.6%) 예상치를 유지했다. 홍태화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