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골드바 이미지 [로이터] |
[헤럴드경제=장연주 기자] 금 가격이 사상 최고치를 경신한 가운데, 당분간 이 같은 가격 상승세가 계속될 것이라는 전망이 나와 눈길을 끈다. 단기적으로 금 가격이 조정되면 저가 매수의 기회로 삼아야 한다는 조언이다.
황병진 NH투자증권 연구원은 11일 관련 보고서에서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 주도의 긴축 통화정책이 마무리 국면에 들어가면서 금 가격이 온스당 2200달러에 근접했다”며 “글로벌 통화정책이 완화되는 구간에서는 금 가격이 통상 강세 사이클을 띄는데, 이 같은 금 가격 상승세가 이제 본격화하기 시작했다”고 밝혔다.
황 연구원은 이에 금 투자에 대한 ‘비중 확대’ 투자의견을 유지했다.
올해 가격 예상 범위는 온스당 기존 1900∼2200달러에서 2000∼2330달러로 상향 조정하고, 장기 목표 가격도 온스당 기존 2550달러에서 2600달러로 높였다.
그러면서 “단기적으로 금 가격 조정이 나타난다면 이는 장기 투자 비중 확대를 위한 저가 매수의 기회로 활용할 만하다”고 덧붙였다.
그는 금 가격이 당분간 상승할 것이라고 보는 이유에 대해서는 “경기 연착륙 전망에도 ‘디스인플레이션 컷’(물가 안정에 기인한 금리 인하)에 대한 기대는 실질금리의 하향 안정세로 나타나, 이자를 지급하지 않는 자산에 대한 투자 매력을 부각한다”고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