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근대골목 김광석거리(중구) 빛길조명.[대구시 제공] |
[헤럴드경제(대구)=김병진 기자]대구시는 성장 잠재력 있는 골목상권을 발굴해 대구 대표 상권으로 육성하기 위한 '2024년 골목경제권 조성사업'에 참여할 골목상권을 모집한다고 25일 밝혔다.
이 사업은 전통시장 중심의 지원 정책에서 소외된 골목상권을 발굴해 활성화하기 위한 것이다.
그동안 시는 골목상권 활성화의 마중물 역할로 골목상권 신규 조직화 81곳, 공동마케팅 86곳, 회복·활력지원 23곳, 명품골목 2곳 등을 대상으로 골목상권 공동체 역량강화와 상권 수요에 기반한 단계별 특성화 사업을 추진했다.
그 결과 근대골목 김광석거리와 북구 칠성가구거리는 지자체 주도가 아닌 상인회 주도로 브랜드 개발 및 다양한 활성화 프로그램을 추진하면서 골목이 다시 활력을 찾게 됐다.
또 남구 물베기거리와 달서구 이곡으뜸거리는 상인회가 주도해 협동조합을 설립하고 상권의 자생력 확보를 위한 첫걸음을 내디뎠다.
최근 저출산·고령화 및 지역소멸 위기가 증대하면서 지역에서는 도심 재개발, 신도시 조성, 주요시설 이전 등으로 상권이 이동하거나 쇠락하는 등 지역 내 경제 불균형이 심화되고 있다.
이에 시는 지역의 위기 극복과 소상공인 상생발전을 통한 지역 상권의 활력을 위해 '골목상권 공동체 육성 및 활성화 지원 조례'와 '지역상권 상생 및 활성화에 관한 조례'를 제정하면서 상권 활성화를 위한 제도적 기반을 마련하고 올해부터 골목경제권 조성사업 시즌2를 본격적으로 추진할 예정이다.
먼저 1단계 신규 골목상권 공동체 지원은 골목상권을 기반으로 30명 이상의 소상공인으로 구성된 단체의 신규 조직화 및 공동체 활동, 공동마케팅 및 역량강화를 지원해 상권이 성장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한다.
2단계는 상권별 특성을 반영해 회복지원(상권당 500만원) 및 활력지원(상권당 200백만원) 사업을 추진한다. 상권 브랜드·디자인 개발, 온오프라인 홍보, 골목 축제, 경영 컨설팅, 시설물 설치 및 환경개선 등을 통해 상권의 특색을 발굴하고 경쟁력을 갖출 수 있도록 지원한다.
3단계의 로컬브랜드 상권 육성은 다양한 상권 주체(상인, 주민, 기업 등)들이 상권 발전 거버넌스를 구축하고 로컬 아카이빙, 상권 문제 해결을 위한 리빙랩 운영을 통해 골목상권이 자생력을 갖추고 지속 발전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이외에도 배달앱 '대구로'내 골목상권 입점 및 할인 혜택 지원, 지역 유망 스타트업과 협력해 소상공인의 매출과 직결되는 홍보 마케팅 지원, 구·군별 골목매니저를 배치해 소상공인의 디지털 기술 활용 지원, 골목규제 발굴 등 소상공인의 애로사항을 적극 수용하고 소통해 나갈 계획이다.
골목경제권 조성사업 참여 신청은 오는 28일까지다. 로컬브랜드 육성 및 스타 소상공인 육성 공모는 다음 달 초 별도로 진행한다.
자세한 내용은 대구시 홈페이지를 참고하면 된다.
안중곤 대구시 경제국장은 "골목상권의 브랜딩과 체계적 지원을 통해 특색있고 차별화된 상권을 육성함으로써 골목상권이 지역경제의 주축이 될 수 있도록 최선의 노력을 다하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