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은 국방력 발전계획사업의 일환으로 신형 극초음속 중장거리탄도미사일(IRBM) 시험발사에 성공했다고 밝혔다. 화상감시체계로 시험발사를 지켜본 김정은 국무위원장은 결과에 만족감을 표시하며 신형 극초음속 IRBM이 괌 미군기지를 겨냥한 것임을 노골적으로 드러냈다.
노동당 기관지 노동신문은 7일 미사일총국이 전날 평양 교외에서 동북방향으로 신형 극초음속 중장거리탄도미사일 시험발사를 성공적으로 진행했다고 보도했다.
신문은 엔진 동체 제작에 새로운 탄소섬유복합재료가 사용됐다면서 비행·유도조종체계에는 축적된 기술을 토대로 새로운 종합적이며 효과적인 방식을 도입했다고 설명했다.
작년 4월 발사한 극초음속미사일 ‘화성-16나’형의 개량형으로 추정된다.
북한이 우크라이나전쟁 파병 대가로 러시아로부터 극초음속미사일 관련 신소재와 기술을 넘겨받았을 가능성도 배제하기 어렵다.
신문은 극초음속 IRBM의 활공비행전투부(HGV)가 마하12에 달하는 속도로 1차 정점고도 99.8㎞, 2차 정점고도 42.5㎞를 찍었으며 예정된 비행궤도를 따라 비행해 1500㎞ 계선의 공해상 목표가상수역에 정확히 탄착했다고 밝혔다.
북한의 주장대로라면 작년 4월보다 속도와 비행거리, 변칙기동 능력 등이 전반적으로 향상됐다고 할 수 있다. 다만 이성준 합동참모본부 공보실장은 이날 정례브리핑에서 “북한이 주장하는 비행거리와 2차 정점고도 등은 기만 가능성이 높다고 판단하고 있다”며 “한미일이 분석한 사거리는 1100여㎞이고 2차 정점고도는 없었다”고 북한의 과장 가능성에 무게를 뒀다.
김 위원장은 시험발사를 지켜본 뒤 “이러한 무기체계를 보유한 나라는 세계적으로 몇 안 될 것”이라면서 “이것은 마땅히 자부해야 할 자위력 강화에서의 뚜렷한 성과이며 하나의 특대사변”이라고 의미를 부여했다.
‘게임체인저’로서의 신형 극초음속 IRBM의 의미를 강조한 것이다.
특히 김 위원장은 “극초음속 미사일체계는 국가의 안전에 영향을 줄 수 있는 태평양지역의 임의의 적수들을 믿음직하게 견제하게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마하10 이상으로 비행하면서 궤도를 바꿔가며 변칙기동하는 극초음속미사일은 현존 미사일방어체계(MD)로 탐지와 추적, 요격이 쉽지 않다.
군통수권이 윤석열 대통령→한덕수 대통령 권한대행 국무총리→최상목 대통령 권한대행 부총리로 옮겨가는 혼돈 속 한국의 대비태세를 떠보려는 의도로 풀이된다. 또 트럼프 당선인의 취임식을 앞두고 토니 블링컨 미 국무장관의 방한 기간 괌 타격 능력을 과시함으로써 존재감을 십분 부각시키려 한 것으로 보인다.
홍민 통일연구원 선임연구위원은 “트럼프 당선인의 취임 전 발사함으로써 대미 메시지 용도임을 명확히 했다”며 “조기 북미대화 가능성이 높아진 상황에서 미국에 북한의 전략적 지위를 인정하고 비핵화가 아닌 위협 감소를 위한 핵군비통제와 관계 개선에 나서라는 협상 구도의 변화를 유도하려는 것”이라고 분석했다.
신대원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