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방부, 올해 유해 220구 발굴·신원확인 25명 목표

올해 6·25전쟁 75주년·유해발굴 25주년 맞아
유가족 유전자 시료 1만2000개 채취 목표


국방부는 18일 국방컨벤션에서 김수삼 인사복지실장 주관으로 ‘2025년 6·25전사자 유해발굴 추진 회의’를 개최하고 유해 220구 발굴과 신원확인 25명 등을 목표로 잡았다.[국방부 제공]


[헤럴드경제=오상현 기자] 국방부가 올해 유해발굴사업을 통해 220구의 유해발굴과 1만2000개의 유가족 유전자 시료채취, 국군전사자 신원확인 25명이라는 목표를 세웠다.

국방부는 18일 국방컨벤션에서 김수삼 인사복지실장 주관으로 ‘2025년 6·25전사자 유해발굴 추진 회의’를 개최했다.

이날 회의에는 국방부와 각 군의 유해발굴 사업 관계자 50여명이 참석해 올해 진행될 유해발굴 추진계획과 발전방안을 논의했다.

국방부는 이번 회의에서 ‘6·25전사자 유해발굴을 통한 국가 무한책임 이행’을 기본 방향으로 설정하고 ▷성과있는 유해발굴작전 시행 ▷발굴유해의 신원확인 확대 ▷유가족 참여 및 국민 공감대 확산을 위한 맞춤형 홍보 강화 ▷민관군 협업 및 국제협력 강화 ▷정책발전 및 비전을 5대 중점과제로 선정했다.

우선 성과있는 유해발굴작전 시행을 위해 각 발굴지역에 4~8주 동안 하루 80~100여명씩 연간 약 10만여명의 병력을 현장에 투입한다.

작전에 투입되는 대대급 부대의 여건을 최대한 보장하고 작전 종료 후에는 현장 원상복구로 자연훼손과 개인재산 피해를 방지한다는 방침이다.

발굴유해의 신원확인을 확대하기 위해 전·후반기 민·관·군이 협업해 유가족 집중 찾기를 시행하며 시료 확보 노력을 강화하기로 했다.

또 국립과학수사연구원과 함께 전사자 유해의 얼굴복원을 최초로 진행하고 유전자분석의 대외공신력 제고를 위해 한국인정기구(KOLAS) 국제공인 인증 획득을 추진한다.

현장방문과 전화로 신청을 받던 유전자 시료채취 신청을 온라인으로도 받아 유가족 참여의 접근성을 높일 예정이다.

또 사업 인지도와 긍정적 인식을 높이기 위해 기념식이나 전시회 같은 현장 참여형 행사를 하고 세대별로 선호하는 매체를 고려해 기획홍보도 전개할 예정이다.

지역행사나 축제와 연계한 시료채취 지원을 활성화하고 다양한 단체와 교류·협력도 강화한다.

올해 처음으로 서울과 수도권에 있는 7개 대학교와 학술·연구 프로젝트를 펼치고 유해발굴 현장학습 등 다양한 활동도 진행한다.

또 미 국방부 전쟁포로/실종자 확인국(DPAA)과의 공동조사·발굴 등 국제협력도 강화할 예정이다.

이밖에도 관련 법령을 개정해 유해발굴감식위원회 구성과 운영을 구체화하고 허위제보나 증언 시 포상금을 지급하지 않을 근거를 마련한다.

김수삼 인사복지실장은 “올해 6·25전쟁 75주년, 유해발굴사업 25주년을 맞아 더 큰 성과를 거둘 수 있길 기원한다”며 “국가를 위해 헌신하신 호국영웅의 고귀한 넋을 기리고 국가 무한책임 이행을 위한 유해발굴사업을 추진하는 핵심관계자로서 사명감을 갖고 호국영웅들을 하루라도 빨리 가족의 품으로 모실 수 있도록 정성을 다하자”고 당부했다.

6·25전사자 유해발굴사업은 2000년 시작해 매년 약 10만여명의 국군장병들이 6·25전쟁 주요격전지에서 발굴적전을 펼치며 지금까지 국군전사자 1만1394명의 유해를 발굴했다.

이 중 248명의 호국영웅 신원을 확인해 가족의 품으로 모셔 드렸고 국군전사자 기준 7만1264명의 유가족 시료를 확보하는 성과를 달성했다.

국방부는 “올해로 25주년을 맞은 유해발굴의 역사만큼이나 전쟁세대의 고령화와 국토개발 등으로 유해발굴과 유가족을 찾는데 큰 장벽이 되고 있다”며 “6·25전사자 유해발굴 사업은 시간과의 싸움에 직면해 있다”고 밝혔다.

이어 “전쟁세대와 유가족 고령화 등으로 유가족을 찾기 위한 노력이 절실한 상황”이라며 “13만3192명의 전사자 중 90%가 이름 모를 산야에 묻혀 계시다는 점을 인식하고 하루라도 빨리 유가족 품으로 모실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덧붙였다.

Print Friendl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