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지난해 여름과 가을 주택 거래량 증가에 공헌을 했었다고 여겨지는 8천불 세금 혜택 프로그램을 의회가 올 상반기까지 연장시켰지만 많은 경제학자들은 미래 수요를 훔쳐오는 것에 지난지 않는다며 그 실용성에 의구심을 표하고 있다. ⓒ2009 Koreaheraldbiz.com | |
올해 부동산 주요 이슈
올해 부동산 정책에 있어 중점적으로 예상되는 이슈들은 무엇일까? 월스트리트 저널은 최근호에서 올해 부동산 시장의 주요 이슈들에 대해 지적했다. 지난해 한해 세금 크레딧 등 정부의 적극적인 지원에 힘입어 첫 주택 구입자들의 구매가 부동산 시장에 그나마 활력을 불어넣어주었지만 올해부터는 정부 지원이 점차 줄어들 것으로 예상됨으로써 2010년 전망은 불투명한 상태다.
▶모기지 이자율 상승 가능성
지난해 연방준비위의 노력으로 모기지 이자율이 낮게 유지되어 왔는데 새해 연방준비위가 출구전략의 일환으로 개입을 중단할 경우 민간 시장(Private Market)에서 이 간격을 채워줄 수 있을지 많은 경제학자와 투자자 및 애널리스트의 주요 관심사다.
▶여전히 고전중인 페니매, 프레디맥과 연방주택청(FHA) 현재 거의 90%가량이 정부 소유인 페니매나 프레디 맥이 보장하는 모기지들인데 이들 기관의 미래는 예전과 별 차이없이 불투명하다. FHA도 큰 손실로 고전하고 있으며 이에 대한 해결을 위해서는 어쩌면 납세자들로부터 또한번의 구제금융이 필요할지도 모른다.
▶차압 물량 재증가 가능성 융자 조정(Loan modifications) 노력은 차압 물량을 조절하는데 도움이 돼왔다. 하지만 연체자들의 수는 계속 증가하고 있어서 결국 차압 물량이 다시 늘어날 가능성이 더욱 큰 것으로 나타났다.
▶옵션 변동금리 모기지(Option ARM) 파장 많은 전문가들이 과거 수년간에 걸쳐 올해 부터 닥칠 급격히 상승할 지불금액으로 인한 옵션 변동금리 모기지의 파장에 대해 경고해 왔었다. 이 모기지론은 특히 고가 주택 시장에 많이 편중돼 있는 실정이라 일반 서민들 뿐 아니라 부유층의 주거에까지 영향을 끼칠 전망이다.
▶세금 혜택 정책 만기 도래 및 그 실효성에 대한 의문 지난해 여름과 가을 주택 거래량 증가에 공헌을 했었다고 여겨지는 8천불 세금 혜택 프로그램은 원래 지난해 11월에 끝나는 정책이었으나 미 의회는 이를 새해 상반기까지 연장시켰다. 하지만 많은 경제학자들은 이러한 세금혜택은 미래의 수요를 훔쳐오는 것에 지나지 않는다며 정책 실효성에 의구심을 표하고 있다. 지난해 4월 경 경험했던 주택 가격의 바닥보다 더 내려가는 더블 딥(Double-Dip) 가능성도 배제하지 못한다고 밝혔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