회생이냐 매각이냐

미래은행의 운명이 증자 마감시한인 오늘(26일) 결판난다.
 
금융감독 당국이 미래은행측에 요구한 ‘회생의 전제조건’은 3,000만달러 규모의 자본금 확충이다. 이 증자의 납입 마감일이 바로 26일.

그러나 하루 앞둔 25일 현재 미래은행이 증자를 확정한 금액의 규모는 감독국이 요구한 수준에 턱없이 못미치는 1천만달러 안팎에 그치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에 따라 연방예금보험공사(FDIC)가 증자요구액 미달을 이유로 미래은행의 거취를 어떻게 결정할 지에 한인금융가의 눈길이 쏠리고 있다.

일단 존속과 매각이라는 두가지 가능성을 놓고 볼 때 예상은 50:50이다. 감독당국이 증자 마감시한을 연장해줄 경우 미래은행은 일단 계속 운영될 수 있다. 증자규모가 모자라긴 하지만 지난주 미래은행측이 발표한 대로 한국의 기관투자가들이 약정한 것으로 알려진 최대 3천만달러의 투자 유치 의향을 감독국이 자본충원 계획의 실천적인 패키지로 인정해주면 증자마감시한이 연장될 가능성이 높다.

미래은행은 지난 19일 ‘(한국의 회계법인) 삼일을 통해 2개 기관투자가가 1200만달러를 투자할 의향이 있음을 확약받았다…(중략)…투자규모는 최대 3천만달러에 이를 수 있다’라는 내용을 발표한 바 있다. 25일자 미주 한국일보는 “삼일측이 24일 미래은행 관계자와 함께 감독국 관계자들을 만나 미래은행과 삼일이 맺은 투자계약 양해각서(MOU)의 내용을 설명했다”고 전했다.

이같은 보도내용이 사실이라면 이날의 모임은 감독당국이 미래은행에 대한 한국측의 투자성격을 판단하기 위한 성격이었음을 추정케 한다. 결국 감독당국은 미래은행의 운명을 결정짓는 데 있어서 한국측의 투자의지및 실현 가능성을 변수로 삼고 있는 셈이다.
 
한편 한국측 기관투자가그룹을 주관하는 것으로 알려진 한국의 대표적인 회계법인 ‘삼일 프라이스워터하우스쿠퍼스’측의 한 고위실무자는 미래은행에 대한 투자계획과 관련, 모호한 태도를 나타내 주목된다. 미국에 체류 중인 삼일측의 박수근 전무는 25일 오전 본지에 전화를 걸어와 “삼일은 투자하는 기관도 아니고 투자자를 모으러 다니는 기관도 아니다”라고 새삼 강조했다.

박 전무는 아울러 미주 한국일보의 25일자 보도내용에 대해 “노 코멘트”라는 말로 확인해주기를 거부하면서  “미래은행 때문에 (미국에) 온 것은 아니다”라고 말했다. 미래은행의 투자유치 성사여부가 존립여부를 결정짓는 중요한 순간에 삼일측이 왜 갑자기 자신들의 성격을 명확히 하려고 나섰는지 의구심을 키우는 대목이다.

미래은행측 관계자는 이같은 삼일 실무간부의 태도에 대해 “지난주 발표 내용은 모두 사실”이라며 “기밀 유지를 위해 더이상의 자세한 내용은 말할 수 없다. 감독국의 정확한 입장이 곧 나올 것”이라고만 말했다.이제 화살은 시위를 떠났다.

염승은 기자

Print Friendl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