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7일 한국은행과 은행연합회, 금융감독원 등에 따르면 예금은행 가계대출(잔액 기준) 가운데 고정금리 대출이 차지하는 비중은 10월 현재 21.7%로, 올해 6월 23.2%를 기록한 이후 넉달 연속 하락했다.
가계대출 신규취급액 가운데 고정금리가 차지하는 비중도 지난해 11월 50.5%에서 올해 10월 16.0%로 급감했다. 2011년 7월 이후 27개월만에 가장 낮은 수준이다.
정부의 가계부채 연착륙 대책과 저금리 기조 속에 올해 초만 해도 적격대출 등 장기ㆍ고정금리 대출은 변동금리 대출을 밀어내는 듯했다. 하지만 코픽스가 매달 최저치를 경신하면서 변동금리 대출이 다시 각광을 받고 있다.
신규취급액 기준 코픽스는 올해 1월 기준으로 2.99%를 기록한 이후 9월을 제외하고는 계속 하락, 11월에는 2.60%까지 떨어졌다. 잔액 기준 코픽스 역시 하락세를 이어가며 11월 2.91%를 기록했다. 신규와 잔액 기준 코픽스 모두 2010년 도입 이래 최저치다.
반대로 고정금리 주택담보대출의 기준금리가 되는 3년 만기 국고채 금리는 올해 6월 2%대 후반에서 이달 3.4%대까지 상승했다. 변동금리 담보대출과 고정금리 담보대출의 금리차가 갈수록 커지고 있는 셈이다.
이와 관련, 시중은행들은 변동금리 대출이 무조건 좋은 것은 아닌 만큼 금리 변동 가능성과 고객 자신의 대출 계획을 꼼꼼히 따져 선택해야 한다고 조언하고 있다. 3년 이내 대출을 갚을 가능성이 크다면 중도상환수수료 감면 조건이 나은 변동금리 대출이 유리하겠지만, 고정금리 대출은 이자 변동 위험을 줄일 수 있어 장기ㆍ분활 상환시 유리하기 때문이다.
gil@heraldcorp.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