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는 가수다·아빠 어디가 포맷 수입
자막부터 연출까지 포맷 자문
김영희 PD 지명도 하늘 찔러
노하우 다 뽑으면 언젠간 ‘팽’
中 정서 아우르는 연구 지속을
MBC 김영희 PD는 요즘 중국에서 ‘신’으로 대접받고 있다. 기자는 ‘나는 가수다’의 중국판인 ‘워셔꺼쇼(我是歌手)’ 시즌2의 녹화장인 후난TV 방송국을 방문한 적이 있다. 녹화 중에도 중국 제작진은 일일이 김 PD로부터 연출지도와 자문을 받고 있었다.
중국은 ‘아빠 어디가’ 중국판인 ‘빠빠취날’과 ‘워셔꺼쇼’ 둘 다 큰 인기를 얻는 바람에, 이 둘의 포맷을 수출한 MBC의 김 PD가 ‘신’이자 ‘법’으로 통한다. 김 PD의 말은 곧 규칙이요, 규정이 된다.
‘아빠 어디가’는 연출자인 김유곤 PD가 포맷 자문을 해야 하지만, 한국에서 한창 제작 중인 관계로 중국에 올 수가 없어 김 PD가 이를 대신하고 있다. 그래서 중국에서 김 PD의 지명도가 더욱 높아졌다. 그는 두 프로그램의 제목을 고치지 말라고 했다. 그래서 한국 제목을 그대로 번역해 사용하고 있다. 김 PD는 후난TV의 버라이어티 예능에서는 처음으로 사용한 자막 다는 법에 대해서도 자문을 했다.
김 PD는 ‘빠빠취날’의 출연자인 아빠 5명을 첫 촬영지인 베이징 근교에 모아놓고 일장 연설을 했다. 우리보다 아이들의 나이가 한두 살 더 어려서인지 아이들이 도무지 통제가 되지 않을 정도였다.
김 PD는 아빠들에게 “당신들의 아이들은 정말 귀엽고 예쁘다. 하지만 시청자에게 사랑을 듬뿍 받을 것 같지는 않다. 아빠로서 아이들에게 설명하고 교육하는 모습을 좀 더 보여주었으면 좋겠다”고 부탁했다.
이 점이 ‘빠빠취날’이 지난해 중국에서 최고의 예능이 된 포인트다.
중국은 산아제한정책으로 소황제(小皇帝) 소공주(小公主)라고 불리는 1자녀들이 갈수록 버릇이 없어지면서 사회문제화할 정도다. 그런 아이들이 한국의 ‘아빠어디가’의 윤후나 김민국ㆍ송지아ㆍ성준ㆍ이준수가 1년 후 폭풍성장했듯이, 조금씩 달라지는 모습을 보이면서 그 프로그램에 환호하기 시작한 것이다.
중국 창사의 후난TV방송국의 중국판 ‘나가수’인 ‘워셔꺼쇼’ 출연자 대기실에서 인터뷰하는 MBC 김영희 대PD 겸 특임국장. 비행기로 오가며 연출지도와 자문을 해주는 글로벌 PD인‘ 플라잉 디렉터(Flying Director)’로서 역할을 하고 있다. |
‘워셔꺼쇼’도 잊혀져가던 가수의 재발견으로 감동을 선사한다. 현장의 열기는 MBC 드림센터 녹화장에서 이뤄졌던 ‘나는 가수다’ 때보다 더하면 더했지 결코 모자라지 않았다. 시즌2에도 노래 잘하는 허스키보이스 저우비창과 임신 4개월의 여자 로커 등 스토리가 있는 가수들이 적지 않다. 중국 시청자도 갖가지 사연으로 공백기를 가졌던 가수가 가창력으로 다시 인기를 얻어 활발하게 활동하는 모습을 좋아한다.
덕분에 김 PD는 이들에게 자문하랴, 세미나와 콘퍼런스ㆍ강연 다니랴 눈코 뜰 새 없다. 일등석 비행기 좌석과 스위트룸 호텔숙소까지 제공받으며 강연한다. 지난해 9월 베이징TV제작자협회 요청으로 강연한 데 이어 12월에는 광저우 난방TV의 초청을 받아 강의를 했다. 광저우 강연에는 홍콩과 대만의 방송관계자까지 몰렸다.
중국의 대중문화 시장이 크게 부상하고 있기는 하지만 규제가 없는 건 아니다. 외국의 콘텐츠를 직접 수입하는 것은 자제하는 분위기다. ‘대장금’처럼 콘텐츠를 그대로 수입하는 건 망설인다는 말이다. 외국의 콘텐츠가 자국 방송의 프라임타임대에 들어오는 걸 환영할 나라는 없다. 그래서 중국도 최근에는 포맷이나, 아이디어 수입이 크게 늘었지만 이마저도 규제가 가해졌다. 광전총국(우리의 방송통신위원회에 해당)이 한 방송사당 1년에 포맷을 한 편만 수입하게 하는 조치를 내렸다.
그런데 한국에서 히트했다고 해서 중국에서 다 잘되는 건 아니다. ‘1박2일’이 한국에서 대히트했지만, 중국에서는 반응이 저조했다. 국토가 좁은 한국과 땅덩어리가 넓은 중국은 ‘1박2일’이라는 개념 자체가 다르다. 세계의 방송포맷 시장이 커지고 있지만 그 절반 정도를 중국에서 만들어질 수 있다고 김영희 PD는 보고 있다. 포맷시장이 매력적인 것만은 사실이다. 올해는 김 PD처럼 중국에서 맹활약할 한국 PD가 많을 거라는 희망을 가질 만하다. 하지만 우리가 그렇게 대접받을 수 있기 위해서는 그들에게 자문하고 지도ㆍ감독할 수 있는 노하우를 계속 가지고 있어야 한다.
과거 자동차회사에 다녔던 한 선배의 말이 생각났다. 일본 도요타나 혼다에서 온 자문역이 가장 부러웠다고 한다. 별로 일은 하지 않고 한 마디씩 툭 던지곤 하지만 보수는 자신보다 7~8배가 많았다는 것이다.
우리가 일본 자동차회사 직원을 ‘상전’으로 모신 것과, 중국이 우리의 PD에게 한 수 배우려는 자세를 취하는 것은 똑같은 이유다. 노하우 때문이다. 그것을 다 뽑아먹었다는 판단이 설 때 그들은 한국 PD에게 배우려고 하지 않을 것이다. 중국은 방송 제작물량이 우리보다 더 풍부하다. 반면 디테일은 우리보다 약하다. 우리가 ‘컬처테크놀로지(CT)’를 수출하면서, 중국 대중의 정서까지를 아우르는 연구를 게을리하지 말아야 하는 이유가 여기에 있다.
wp@heraldcorp.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