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롯데 주총 D-1] 신동빈 vs 신동주, 우군은 얼마나 될까

[헤럴드경제=도현정 기자]신동빈 롯데그룹 회장의 해임안이 걸린 일본 롯데홀딩스의 주주총회가 하루 앞으로 다가오면서 신동빈 회장과 신동주 SDJ코퍼레이션 회장 양측의 표단속을 위한 움직임도 분주해지고 있다. 양측 중 누구도 완전한 과반 이상의 지지를 확보하지는 못한 상황. 열쇠를 쥐고 있는 지분은 종업원 지주회와 임원지주회 정도다. 일각에서는 이 둘을 움직이는데 쓰쿠다 다카유키(佃孝之) 일본 롯데홀딩스 사장이 영향력을 미칠 것이라는 분석도 내놓고 있다.

한국과 일본 롯데그룹의 경영권을 좌우할 수 있는 일본 롯데홀딩스는 광윤사가 28.1%, 종업원 지주회 27.8% 등으로 지분이 구성됐다. 여기에 롯데 관계사들이 20.1%를 차지하고 있고, 자회사인 LSI(롯데스트레티지인베스트먼트) 10.7%의 지분을 보유하고 있다. 임원지주회 6.0%, 신동주 회장 1.6%, 신동빈 회장 1.4%, 신격호 총괄회장 0.4%, 일본 롯데재단 0.2% 등도 지분이 있고, 그 외 오너 일가가 3.7%를 보유하고 있다.

이 중 신동주 회장의 우호 지분은 본인의 지분인 1.6%에 신격호 총괄회장의 지분 0.4%, 광윤사 지분 28.1% 정도다. 그는 지난해 아버지인 신 총괄회장으로부터 광윤사 지분을 넘겨받아, 광윤사 지분 중 50% 이상을 보유하고 있다. 여기에 신 총괄회장의 동생인 신선호 산사스 회장 정도가 우군으로 분류된다. 신선호 회장은 형제간 경영권 분쟁이 한창이던 지난해 7월 “(형인 신 총괄회장은)동주가 경영권을 가져가는 것에 대한 의견이 한번도 바뀐 적이 없다”며 신동주 회장을 후계자로 지지한다는 입장을 보인바 있다.

신동빈(왼쪽) 롯데그룹 회장과 신동주 SDJ코퍼레이션 회장

다 합해봐도 30%를 조금 넘어서는 정도로, 과반은 역부족이다.

신동빈 회장은 본인 지분 1.4%에 관계사의 지분(20.1%) 중 상당 부분을 가져갈 것으로 전망된다. 신동빈 회장이 홀딩스의 이사회를 장악한 이상 그 영향을 받지 않을 수 없기 때문이다. 임원지주회 지분 6%도 쓰쿠다 다카유키 사장의 영향력을 받는다는 데에서 사실상 신동빈 회장측 지분으로 분류된다. 쓰쿠다 다카유키 사장은 신동빈 회장과 함께 현 이사회를 장악하고 있다. 신동주 회장이 쓰쿠다 사장의 해임안까지 내놓고 주총을 소집한 만큼, 사실상 신동빈 회장과 같은 배를 탔다. 쓰쿠다 사장 입장에서는 신동빈 회장에게 힘을 실어줘야 할 상황이다.

이것 저것을 다 합해도 신동빈 회장 역시 과반은 달성하지 못한다. 30%에 조금 못 미치는 수준이다.

LSI의 지분은 의결권이 없다. 결국 신동빈, 신동주 양측 모두 종업원 지주회(27.8%)의 지지가 절실하다.

현재까지의 관측으로는 신동빈 회장이 유리한 고지를 점하고 있다. 종업원 지주회는 개별적으로 의결권을 행사하지 않고, 조합원들의 의견을 물어 한 쪽으로 기울어지는대로 전체 지분을 ‘몰아주는’ 구조를 취하고 있다. 여기도 일종의 작은 이사회인 셈인데, 현 지주회 이사장이 ‘신동빈 사람’이라 전해진다. 신동주 회장은 종업원 지주회의 지지를 얻기 위해 자신에게 지분을 넘겨주면 1인당 25억원 상당의 가치로 이를 매입하겠다는 제안까지 했으나 지난 2월 주총에서 패했다. 그만큼 신동빈 회장에 대한 종업원 지주회의 지지가 확고하다는 것. 신동빈 회장이 최근 검찰 수사로 수세에 몰렸다는 점이 얼마나 변수로 작용할지가 관건이다.

kate01@heraldcorp.com

Print Friendly